흡연 청소년들의 흡연률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Up
[목차]
Ⅸ. 흐름도
Ⅲ. 사업의 중요성
청소년기는 소아기에서 성인기로 성장, 발달하는 중간단계로 감정 변화가 심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쉽게 과격한 행동을 보이는 격정의 시기이다. 또한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 측면에서 아동으로부터 성인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인격형성 과정에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성숙한 인격으로 주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학업 성취와 입시 경쟁의 고통 속에서 학교생활의 긴장감 해소 또는 호기심으로 중독성 약물 사용 및 일탈행위의 유혹을 받고 있다.(이경자, 1988)
청소년의 흡연은 불안한 심리와 비행에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정신건강에 해로울 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까지로 파급된다. 또한 청소년의 흡연 행위는 신체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육체적, 정서적으로 백해무익한 담배를 피우는 청소년들이 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사회는 청소년의 흡연을 금하며 흡연 청소년을 비행 청소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흡연 청소년들은 흡연을 하면서도 자신의 행동을 반항적 혹은 비행적 행동으로 인식하고 성인에게 숨기게 되며 자신을 속이는 자, 거짓말을 하는 자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의 흡연 행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오익수 외,1993)
이처럼 청소년의 흡연 문제는 그들의 건강에 해를 줄뿐만 아니라 담배의 특성중 인간을 자극하고 대담성을 지니게 함으로써 신체와 정신적으로 건전해야 할 성장기에 있어 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불량 친구와 어울려 음주, 폭력, 절도와 같은 비행의 계기가 되고 있어 더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 비행의 첫걸음은 흡연으로부터 시작된다. 담배를 피우는 청소년들끼리 자연스럽게 그룹(또래집단)이 형성되고 이는 술이나 다른 약물까지 탐닉하게 됨에 따라 각종 비행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년의 흡연은 사회규범에서 첫 일탈행위이며 이는 다음의 범죄로 쉽게 연결된다는 것과 흡연은 청소년의 불안한 심리와 비행에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적 차원까지 파급될 수 있다.(김현옥, 1999).
장차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지는 것…(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