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해체로 인한 아동의 문제와 개선방안 자료
[목차]
참 고 문 헌
(5) 보호아동의 취학
보호되는 아동중 초등학교 이하의 아동이 365명으로 90.3%를 차지하고 있어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유아기와 학령기에 가정에서의 양육 받을 권리를 상실하고 적절하지 못한 환경에서 교육기회를 놓쳐버릴 수도 있어 건강한 사회인으로서 성장이 크게 우려되는 부분이다.
<표 6> 보호아동의 취학별
계미취학초등 재초등 중퇴,졸중재, 중퇴,졸고재 중퇴404
(100%)227
(56.2)121
(30)14
(3.5)25
(6.1)17
(4.2)
(6) 보호아동의 건강
아동이 부모로부터 격리되어질 때 받는 스트레스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서는 물론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바로는 아동들에게 가장 큰 충격이며 사건이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며칠동안 이유 없이 열이 오르고 소화를 못시키며 잠을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충격으로 인하여 부모와 함께 자신의 이름과 나이를 잃어버리는 일시적인 기억상실을 가져오기로 한다. 유기아동을 매스컴을 통하여 부모를 찾았을 때 그때 잃어버렸던 기억들은 선명하게 되찾은 몇 번의 사례가 있었다.
이와 같이 가정과 전혀 다른 환경에 놓여진 아동들이 받는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신체적 질병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아동들이 입소 후 건강검진에 따른 질병을 살펴보면 정상적으로 건강한 아동이 27.5%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아동은 각종 질병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표 7> 보호아동의 질병별
계정상설사,구토
감기아토피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