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사의 시대구분 업로드
[목차]
1. 이병기·백철의 「국문학전사」 시대구분
2. 조윤제의 「한국문학사 개설」, 「한국문학사」 시대구분
Ⅲ. 결론
한국의 고전 문학사를 공부하기 전에 가장 먼저 부딪히게 되는 것이 고전 문학사의 시대구분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문학사뿐만 아니라 예술사, 혹은 국어의 변천사를 살펴보더라도 가장먼저 시대구분에서 여러 이견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고전 문학사의 시대구분에는 왕조에 따른 분류가 있을 것이고, 또는 사회적 토대의 변화를 근거로 해서 시대를 구분 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아니면 향가시대·시조시대 처럼 장르를 토대로 시대를 구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Ⅱ. 본론
1. 이병기·백철의 「국문학전사」 시대구분
먼저 이병기·백철의 국문학사 시대구분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들은 저서에서 시대구분에 대한 설명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문학사의 방법론 중 가장 결정적이요 또 중요한 부분은 각 시대의 특징적 성격을 체계화하는 시대구분의 방법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민족의 문학사란 항상 명료하지 않은 인과관계를 명료하게 하고자 하고, 무관계인 것처럼 보이는 것을 관계있는 사실로 바꿔 놓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모든 문학적 사실은 끝없는 다양성과 방산성으로써 얽혀 있는 것이다.”
그들은 우리 국문학사의 서술에 있어서 세계의 문학사적 관련성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그 사적 구분의 위치가 반드시 유럽의 그것과 일치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세계문학사적 의미에서는 보통 크게 구분하여 고대문학사, 중세 문학사, 근대문학사, 현대문학사 등으로 시대구분이 된다고 생각하는데 우리국문학사의 경우에는 그 표준이 그대로 들어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