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 Contents
한문학의 개념과 범주 레포트
한문학의 개념과 범주.hwp 문서 (다운받기).zip
한문학의 개념과 범주
한문학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몇 작가를 예로 들어 간단하게 설명한 글입니다. 한문학의개념과범주1
1.학자들의 한문학에 대한 정의
1)강동엽(한국의 고전문학,1997 청문각)
한국 고전문학에 있어서 한문학이란 한자로 표기된 문학작품을 말하며,그 대상은 시기적으로 상고시대로부터 조선조 후기를 말한다.이를 전제로 하여 그 개괄적인 것만 살펴보아도 작품의 분량이나 해당되는 작가가 엄청난 수에 달한다.물론 역사적인 기간 또한 오래이다. 그래서 한국 한문학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다.
2) 전규태(한국문학의 이해,1986 정음문화사)
우리 문학사에 대해서 논술하는 이는 누구나 그 개념 문제의 처리를 위해 한문학문제를 다루게 마련이다.그러니까 우리문학의 개념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언어와 문자의 문제가 자연 문제시 되게 마련인 것이다.
국문학이란 그 나라 국민이 그들의 감정을 그 나라 말로 표현한 문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규정하고 보면 국문학의 개념을 새삼 이렇다 저렇다 하고 운위할 필요도 없는 것이겠지만, 우리나라처럼 우리글이 뒤늦게 창조된 점과,한자가 우리 문학의 비롯됨과 더불어 거의 우리 문자처럼 두루 쓰이어 왔다는 점 등을 생각할 때 중국 문자인 한자로 표기된 문학 형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우리 문학의 역사를 다룸에 있어서도 이 한자에 대한 위치를 어떻게 확정시키느냐에 따라 문학사 기술에 있어 현격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한자마다 이설이 있으므로 이를 대강 종합 검토해 봄으로써 좀 더 적절한 개념 설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우리글로 쓴 것만이 국문학이다
춘원 이광수는 신생지에서
``조선문학을 위해서는 태학관은 이야기책을 보는 촌자의 사랑방만 못하고, 대재학*부제학은 무녀와 기생만 못하였던 것이다. 조선문학이 무엇이뇨?조선문으로 쓴 문학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역시 김태준도 조선소설사에서
``국민의 사상 감정을 표현하는 유일한 도구인 국어를 떠나서는 도저히 국민문학이니 향토문학이니 하는 것은 완성할 수 없다.그러므로 정말 조선문학은 한글 창제 후부터 출발하였다고 함이 가하다.’’
라고 한문학이 국문학이 될 수 없음을 확연히 규정했다.
이와 같은 주장은 여러 차례 국어 국문학자에 의하여 논란되어 왔다.우리어문학회의 `국문학개론’,김사엽의 `조선문학사’,문일평의 `국학의 정의’,백철의 `한문학의 처리문제’등에서도 각각 강조된 바 있다.
PC에서도 모바일 화면을 편리하게!
웨일 브라우저에서는 PC 브라우저에서도 모바일 화면을 그대로 보여주는 모바일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OWNLOAD
웨일로 들어온 모바일
지금 보고 있는 사이트를 모바일로 보고 싶을 때나, 혹은 모바일 전용 페이지라 PC에서는 원활한 접속이 어려운 사이트를 만났을 때,
웨일의 모바일창 기능으로 훨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