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민가>, <도솔가>는 4구체이며 <처용가>, <모죽지랑가>는 8구체이고 <혜성가>, <도천수관음가>, <제망매가>, <우적가>,ip 남북한의 향가 남북한의향가 Ⅰ. 작품분석 6. 8구체는 넉 줄에 다시 넉줄을 더한 모습을 보여 주는 형식인데 남아 전하는 수효가 많지 않다는 점과 두 작품의 성격이 서정과 무속으로 판이하다는 점에서 8구체는 10구체의 중간적 과도기적 양식으로 볼 수 있다. <서동요>, 8구체, <찬기파랑가>, <원가>,3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다. . 향가 작품의 주제별 분류 * 남한 1) 전승민요로서의 향가(서동요, <원왕생가>,, 해가사,3조가 기본으로 되고 때로 2, 헌화가) 풍요: 양지라는 신통한 승려가 불상을 만들 때 성인 남녀가 다투어 흙을 운반하며 부름. 향가의 발생과 명칭 2. 4. 10구체 향가의 시구들을 보면 첫 시행은 매우 짧고 전체적으로 기수에 해당되는 시행이 우수에 해당되는 시행보다 짧으며 락구에 감탄사가 도입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삼구육명」의 원칙을 구현하여 정형시가로서의 특성을 ......
남북한의 향가 레폿
남북한의 향가.hwp 문서자료 (첨부파일).zip
남북한의 향가
남북한의향가
Ⅰ. 서론
Ⅱ. 본론
1. 향가의 발생과 명칭
2. 작자계층
3.향가의 형식
4. 향가 작품의 주제별 분류
5. 작품분석
6. 향가의 쇠퇴
7. 향가 창작의 의의
Ⅲ. 결론
참고문헌
3.향가의 형식
향가는 한 작품을 이루는 초기의 향가 형태인 소위 4구체, 8구체, 향가의 대표적인 가장 발달된 형태인 10구체가 있다.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는 4구체이며 <처용가>, <모죽지랑가>는 8구체이고 <혜성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원가>, <우적가>, <제망매가>, <원왕생가>, <도천수관음가>, <보현시원가> 11수 모두는 10구체이다. 이 중 가장 단순한 형태가 4구체인데 그 형식이 단순한 것처럼 내용도 매우 단순하다. 8구체는 넉 줄에 다시 넉줄을 더한 모습을 보여 주는 형식인데 남아 전하는 수효가 많지 않다는 점과 두 작품의 성격이 서정과 무속으로 판이하다는 점에서 8구체는 10구체의 중간적 과도기적 양식으로 볼 수 있다.
「삼구육명」의 원칙을 구현하여 정형시가로서의 특성을 갖추게 된 10구체의 향가는 크게 3개의 분절로 나누어지는데 앞의 두 분절은 각각 4개의 시행으로 구성된다. 마지막 분절은 보통 락구라고 부르는데 이 락구는 두 개의 시행으로 이루어진다.
10구체 향가의 시구들을 보면 첫 시행은 매우 짧고 전체적으로 기수에 해당되는 시행이 우수에 해당되는 시행보다 짧으며 락구에 감탄사가 도입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10구체 향가의 음수률은 3,3조가 기본으로 되고 때로 2,3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다.
10구체 향가는 우리나라 서사문학의 발전력사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정형시 형식으로서 시조와 고려 국어가요를 비롯한 민족 국어 시가 형식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4. 향가 작품의 주제별 분류
* 남한
1) 전승민요로서의 향가(서동요, 풍요, 해가사, 헌화가)
풍요: 양지라는 신통한 승려가 불상을 만들 때 성인 남녀가 다투어 흙을 운반하며 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