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다운로드
[목차]
목차
1. 탈북자란?
2. 탈북의 원인
9. 개선방안
Ⅲ. 결론
⑷ 교육내용
① 정서·심리적 불안정 상태 해소
▪ 탈북, 제3국 은신, 도피생활 중 어려움 및 입국 후 환경변화로 인한 심리상태 불안
⇒ 인성·적성검사를 통한 개별심리상태 파악 및 심리안정·순화 프로그램 운영
② 문화적 이질감 해소
▪ 자유민주주의 사회에 대한 이해부족, 언어·사고·생활습관 등의 차이로 인한 문 화적 이질감 상존
⇒ 우리 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론교육·현장학습 등 체계적인 사회
적응 교육 실시
③ 진로지도 및 취업여건 개선을 위한 기초직업훈련 강화
▪ 향후 진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 전 기간 동안 진로지도 필요
⇒ 전산·운전·봉제 등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기능훈련과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 중점 편성·운영되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입소자들이 퇴소할 때까지
이수하는 기수당 총 교육시간은 520시간이며 ‘진로지도 및 기초직업훈련’에
할당된 시간은 140시간이며 이중에서 기초직업훈련 시간은 60시간인데 교
육내용은 남자의 경우 운전교육, 여자의 경우 요리·봉제교육이며 그 밖에
일상생활 기능실습 과정으로 전산교육이 30시간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