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다운로드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탈북자란?
2. 탈북의 원인

3. 탈북자의 특성

4. 현황

5. 국가지원정책

6. 민간지원

7. 문제점

9. 개선방안
Ⅲ. 결론



⑷ 교육내용
① 정서·심리적 불안정 상태 해소
▪ 탈북, 제3국 은신, 도피생활 중 어려움 및 입국 후 환경변화로 인한 심리상태 불안
⇒ 인성·적성검사를 통한 개별심리상태 파악 및 심리안정·순화 프로그램 운영
② 문화적 이질감 해소
▪ 자유민주주의 사회에 대한 이해부족, 언어·사고·생활습관 등의 차이로 인한 문 화적 이질감 상존
⇒ 우리 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론교육·현장학습 등 체계적인 사회
적응 교육 실시
③ 진로지도 및 취업여건 개선을 위한 기초직업훈련 강화
▪ 향후 진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 전 기간 동안 진로지도 필요
⇒ 전산·운전·봉제 등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기능훈련과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 중점 편성·운영되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입소자들이 퇴소할 때까지
이수하는 기수당 총 교육시간은 520시간이며 ‘진로지도 및 기초직업훈련’에
할당된 시간은 140시간이며 이중에서 기초직업훈련 시간은 60시간인데 교
육내용은 남자의 경우 운전교육, 여자의 경우 요리·봉제교육이며 그 밖에
일상생활 기능실습 과정으로 전산교육이 30시간이다.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국내 탈북자 사회 적응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