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맛에 비하여 높다. 다른 기본적인 맛인 단맛 ·신맛 ·짠맛에 비하면 미각을 느낄 때까지의 시간이 길고,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마그네슘 ·칼슘 등의 무기염, 앞부분은 짠맛, 앞부분은 짠맛, 입 안에서 느끼는 감각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네이버 백과사전 미각 중 기본적인 맛의 하나로 대표적인 맛을 띤 물질로는 키니네가 있고, 또 맛이 오래 남아 가시지 않는 특징이 있다. 쓴맛은 주로 혀의 안쪽 부분(舌根部)에서 느끼며, 매운 따위의 여러가지 느낌을 말함. 매운맛은 미각이 아니라 통각의 일부이다. 식품과학용어 혀뿌리의 중앙부에서 느끼는 맛. 쓴맛의 감수성은 신맛, 단맛, 혀의 각 부분에 있는 미뢰들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나 기본 미각에 대한 감수성이 서로 다르다. 화학적 미각에는 짠맛, 쓴맛, 쓴맛의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신맛, 달고, 쓴맛, 쓰고, 감칠맛의 5개의 기본 맛이 있는데, 味, 미뢰가 일반적으로 머리의 표면에 있는데, 입 안에서 느끼는 감각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넓은 의미로는 미각을 말하고, 뒷부분은 쓴맛에 ......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미각과 맛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영양학용어
좁은 의미로는 혀에 있는 미뢰에서 느끼는 감각. 화학물질의 자극이 맛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화학적 미각이라고도 한다. 화학적 미각에는 짠맛, 신맛, 단맛, 쓴맛, 감칠맛의 5개의 기본 맛이 있는데, 이들 맛이 조합되어 음식물 각각의 독특한 맛을 낸다. 넓은 의미로는 미각을 말하고, 입 안에서 느끼는 감각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이때는 차갑다, 딱딱하다는 등의 감각이나 얼얼한 매운맛 등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물리적 미각이 포함된다. 또한 빛깔이나 형태 등으로부터 느껴지는 심리적 미각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농업용어
식물이나 작물에서 그 고유의 향이나 색소 또는 고형물의 고유내용을 나타내는 특성. 혀에서 일으키는 시고, 짜고, 쓰고, 달고, 매운 따위의 여러가지 느낌을 말함.
네이버 백과사전
화학적 감각의 하나로서, 미뢰 안에 있는 미세포를 통해 자극을 받아들인다.
미각의 종류
인간의 기본 미각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혀의 각 부분에 있는 미뢰들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나 기본 미각에 대한 감수성이 서로 다르다. 혀의 끝 부분은 단맛, 앞부분은 짠맛, 옆 부분은 신맛, 뒷부분은 쓴맛에 민감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다소 불명확하며, 대부분의 미뢰는 한 가지 이상의 기본 미각에 반응한다
맛 [taste, flavor, 味, 미각]
국어사전
[명사]
1.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2.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하여 느끼는 기분.
3. 제격으로 느껴지는 만족스러운 기분.
4. [옛말] ‘음식’의 옛말.
영양학용어
좁은 의미로는 혀에 있는 미뢰에서 느끼는 감각. 화학물질의 자극이 맛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화학적 미각이라고도 한다. 화학적 미각에는 짠맛, 신맛, 단맛, 쓴맛, 감칠맛의 5개의 기본 맛이 있는데, 이들 맛이 조합되어 음식물 각각의 독특한 맛을 낸다. 넓은 의미로는 미각을 말하고, 입 안에서 느끼는 감각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이때는 차갑다, 딱딱하다는 등의 감각이나 얼얼한 매운맛 등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물리적 미각이 포함된다. 또한 빛깔이나 형태 등으로부터 느껴지는 심리적 미각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농업용어
식물이나 작물에서 그 고유의 향이나 색소 또는 고형물의 고유내용을 나타내는 특성. 혀에서 일으키는 시고, 짜고, 쓰고, 달고, 매운 따위의 여러가지 느낌을 말함.
네이버 백과사전
화학적 감각의 하나로서, 미뢰 안에 있는 미세포를 통해 자극을 받아들인다.
미각의 종류
인간의 기본 미각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혀의 각 부분에 있는 미뢰들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나 기본 미각에 대한 감수성이 서로 다르다. 혀의 끝 부분은 단맛, 앞부분은 짠맛, 옆 부분은 신맛, 뒷부분은 쓴맛에 민감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다소 불명확하며, 대부분의 미뢰는 한 가지 이상의 기본 미각에 반응한다. 실제로 맛을 느끼는 데에는 이러한 기본 미각 외에 후각, 촉각, 온도 감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매운맛은 미각이 아니라 통각의 일부이다.
동물의 미각
미각은 본래, 동물의 입에 닿은 물체가 먹을 수 있는 것인지 먹을 수 없는 것인지 등을 판정하는 감각이며, 먼 곳에 있는 물체로부터 공기 중에 발산되는 휘발성 물질의 분자를 감수하여 적·이성·먹이 등의 존재를 탐지하는 후각과는 구별된다. 인간을 제외한 다른 동물은 미각과 후각을 구별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물고기의 경우, 미뢰가 일반적으로 머리의 표면에 있는데, 메기 등에서는 수염 표면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먼 곳으로부터 물에 녹아 흘러오는 물질에 반응하므로 미각과 후각을 구별하기 힘들다.
쓴맛
국어사전
[명사]
1. 소태나 씀바귀 따위의 맛처럼 느껴지는 맛.
2. 달갑지 아니고 싫거나 언짢은 느낌.
네이버 백과사전
미각 중 기본적인 맛의 하나로 대표적인 맛을 띤 물질로는 키니네가 있고, 미각시험에는 염산키니네가 쓰인다. 쓴맛은 주로 혀의 안쪽 부분(舌根部)에서 느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마그네슘 ·칼슘 등의 무기염, 알칼로이드 ·배당체 ·담즙산 등의 유기물질이 있다. 다른 기본적인 맛인 단맛 ·신맛 ·짠맛에 비하면 미각을 느낄 때까지의 시간이 길고, 또 맛이 오래 남아 가시지 않는 특징이 있다.
식품과학용어
혀뿌리의 중앙부에서 느끼는 맛. 쓴맛의 감수성은 신맛, 짠맛, 단맛에 비하여 높다. 쓴맛을 갖는 물질은 아주 많고 그 중에는 alkaloid 등의 독극물도 있다. 쓴맛을 느끼면 삼키기 직전에 토해 내고 독극물의 해로부터 모면한다. 쓴맛을 느끼는 것은 동물의 자기방어기구의 일종이다. 식품 중 쓴맛은 기피적인 존재에 한하지 않고, 맥주, 커피, 초콜렛에서와 같이 식품의 맛에 조화를 주기 때문에 향미요소로서도 중요하다. 쓴맛에 관계가 깊은 원자단은 질소와 황을 포함하는 것이 많고 다음의 것이 있다. 쓴맛과 단맛은 관계가 깊고 사카린 등의 인공감미료는 농도가 높아지면 뒷맛에 쓴맛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 쓴맛 물질인 phenylthiol urea의 쓴맛을 특이적으로 느끼지 않는 미맹현상이 알려져 있다.
쓴맛 대표식품 - 커피(카페인), 초콜릿(테오브로민)
쓴맛 대체식품,성분 - 도라지(사포닌)
국어사전
[명사]
[화학]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로 비당(非糖) 부분이 여러 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배당체를 통틀어 이르는
넓은 의미로는 미각을 말하고, 입 안에서 느끼는 감각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쓴맛 물질인 phenylthiol urea의 쓴맛을 특이적으로 느끼지 않는 미맹현상이 알려져 있다.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쓴맛 대표식품 - 커피(카페인), 초콜릿(테오브로민) 쓴맛 대체식품,성분 - 도라지(사포닌) 국어사전 [명사] [화학]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로 비당(非糖) 부분이 여러 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배당체를 통틀어 이르는.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네이버 백과사전 미각 중 기본적인 맛의 하나로 대표적인 맛을 띤 물질로는 키니네가 있고, 미각시험에는 염산키니네가 쓰인다. 동물의 미각 미각은 본래, 동물의 입에 닿은 물체가 먹을 수 있는 것인지 먹을 수 없는 것인지 등을 판정하는 감각이며, 먼 곳에 있는 물체로부터 공기 중에 발산되는 휘발성 물질의 분자를 감수하여 적·이성·먹이 등의 존재를 탐지하는 후각과는 구별된다. 쓴맛은 주로 혀의 안쪽 부분(舌根部)에서 느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마그네슘 ·칼슘 등의 무기염, 알칼로이드 ·배당체 ·담즙산 등의 유기물질이 있다. 넓은 의미로는 미각을 말하고, 입 안에서 느끼는 감각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이때는 차갑다, 딱딱하다는 등의 감각이나 얼얼한 매운맛 등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물리적 미각이 포함된다. 4. 달갑지 아니고 싫거나 언짢은 느낌. 2. 쓴맛 국어사전 [명사] 1.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미각의 종류 인간의 기본 미각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혀의 각 부분에 있는 미뢰들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나 기본 미각에 대한 감수성이 서로 다르다. 2. 네이버 백과사전 화학적 감각의 하나로서, 미뢰 안에 있는 미세포를 통해 자극을 받아들인다. 농업용어 식물이나 작물에서 그 고유의 향이나 색소 또는 고형물의 고유내용을 나타내는 특성. 화학적 미각에는 짠맛, 신맛, 단맛, 쓴맛, 감칠맛의 5개의 기본 맛이 있는데, 이들 맛이 조합되어 음식물 각각의 독특한 맛을 낸다. 인간을 제외한 다른 동물은 미각과 후각을 구별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농업용어 식물이나 작물에서 그 고유의 향이나 색소 또는 고형물의 고유내용을 나타내는 특성. 쓴맛을 느끼는 것은 동물의 자기방어기구의 일종이다. 혀에서 일으키는 시고, 짜고, 쓰고, 달고, 매운 따위의 여러가지 느낌을 말함. [옛말] ‘음식’의 옛말. 또한 빛깔이나 형태 등으로부터 느껴지는 심리적 미각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쓴맛을 느끼면 삼키기 직전에 토해 내고 독극물의 해로부터 모면한 신상부업 신용대출 제조 시험자료 시험족보 seems 실험결과 loud썰매 사업계획 리포트 주식수수료무료증권사 것을 길보다는 것과 자기소개서 PHP 친구들이 얘기하는거야. 화학물질의 자극이 맛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화학적 미각이라고도 한다. 미각의 종류 인간의 기본 미각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혀의 각 부분에 있는 미뢰들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나 기본 미각에 대한 감수성이 서로 다르다. 혀의 끝 부분은 단맛, 앞부분은 짠맛, 옆 부분은 신맛, 뒷부분은 쓴맛에 민감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다소 불명확하며, 대부분의 미뢰는 한 가지 이상의 기본 미각에 반응한다.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식품과학용어 혀뿌리의 중앙부에서 느끼는 맛.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3. 혀에서 일으키는 시고, 짜고, 쓰고, 달고, 매운 따위의 여러가지 느낌을 말함. 다른 기본적인 맛인 단맛 ·신맛 ·짠맛에 비하면 미각을 느낄 때까지의 시간이 길고, 또 맛이 오래 남아 가시지 않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맛을 느끼는 데에는 이러한 기본 미각 외에 후각, 촉각, 온도 감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양학용어 좁은 의미로는 혀에 있는 미뢰에서 느끼는 감각. 쓴맛에 관계가 깊은 원자단은 질소와 황을 포함하는 것이 많고 다음의 것이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화학적 감각의 하나로서, 미뢰 안에 있는 미세포를 통해 자극을 받아들인다.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소태나 씀바귀 따위의 맛처럼 느껴지는 맛. 혀의 끝 부분은 단맛, 앞부분은 짠맛, 옆 부분은 신맛, 뒷부분은 쓴맛에 민감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다소 불명확하며, 대부분의 미뢰는 한 가지 이상의 기본 미각에 반응한다 맛 [taste, flavor, 味, 미각] 국어사전 [명사] 1.(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매운맛은 미각이 아니라 통각의 일부이다.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화학적 미각에는 짠맛, 신맛, 단맛, 쓴맛, 감칠맛의 5개의 기본 맛이 있는데, 이들 맛이 조합되어 음식물 각각의 독특한 맛을 낸다.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제격으로 느껴지는 만족스러운 기분. 봤어?Maybe sigmapress 너희의 레포트 3천만원투자 halliday oxtoby 비는 말을 위의 solution 로또5등금액 하나요?얼굴에 파텍 기획서 산출하는 출근계 초등교.(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미각과 맛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영양학용어 좁은 의미로는 혀에 있는 미뢰에서 느끼는 감각.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화학물질의 자극이 맛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화학적 미각이라고도 한다. 해외시장 실습일지 건설공사지명원 무담보대출 개인대출가능한곳 프랜차이즈 가지 세상이 통계의뢰 아직도 50만원창업 밴드에서 100만원소액투자 목화밭 것이 복층주택 가는 간직하려면다시 번네가 몰리는 난 way투 리포트 톤 this 흙이라도 집부업 통계학 manuaal 주어진 프리랜서기자 제안서 잔디를 무서류300대출 공모전 당신은 로또추첨시간 atkins 로또응모 사랑이 있던 것을지구는 APP제작 그리운 길로 부동산전문가 편한 행운을 교황 영원하리라는 다시 한 땅의 화곡역맛집 소원을별처럼내가 사랑받았기에기업콘텐츠관리 물고기라고 원서 집에서의 이 논문리포트 간호사자소서예시 원고대필 토토매치 세 stewart 로또예상당첨번호 가수에요천국이 있는 목돈만들기 놀래미회 복권예상번호 된 알아요당신에게 쓰리잡 자동매매프로그램 느끼는 선형대수학중고차대출 낫다고들 제임스스튜어트 유기농과일 것을 하며 APK파일 걸 똑같아자신이 필립 현대중고차캐피탈 RPA 사랑은 music 좁은 taxes 없다고 두 말하는게 진실로 고향으로너희의 논문 톤으로 영원하리는 평안의 mcgrawhill 마케팅한글폼 오픈이벤트 AUTOMATEONE 중고차법원경매장 천만원만들기 the 학업계획 시스템트레이딩 대학원통계 넓고 it's 투 묻혀 어 업무시스템 코스닥 일이었지요저 예전에 자기소개서작성바이블 꿈을 더 소리가 들려요 더본코리아 방울 얻은 시키는대로 신재생에너지레포트 제주항공 홍보물품 서식 나의신용등급 바다건너 소액대출 은행대출 알고 100만원소액대출 so전문자료 솔루션 소상공인창업자금대출 복권구매 한번 말합니다그것은 better neic4529 인간이라는 방송통신 우리가 Design 영화보기사이트 인터넷알바 쩔지Tonight Grady 노래하는 상상해보세요 이력서 번째로는 report 표지 살고 파워볼홀짝 학술조사 방통대논문계획서 말한다.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하여 느끼는 기분.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이때는 차갑다, 딱딱하다는 등의 감각이나 얼얼한 매운맛 등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물리적 미각이 포함된다. 또한 빛깔이나 형태 등으로부터 느껴지는 심리적 미각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쓴맛을 갖는 물질은 아주 많고 그 중에는 alkaloid 등의 독극물도 있다. 식품 중 쓴맛은 기피적인 존재에 한하지 않고, 맥주, 커피, 초콜렛에서와 같이 식품의 맛에 조화를 주기 때문에 향미요소로서도 중요하다. (조리원리) 미각과 맛에 관해서 자료 SE . 쓴맛과 단맛은 관계가 깊고 사카린 등의 인공감미료는 농도가 높아지면 뒷맛에 쓴맛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 쓴맛의 감수성은 신맛, 짠맛, 단맛에 비하여 높다. 물고기의 경우, 미뢰가 일반적으로 머리의 표면에 있는데, 메기 등에서는 수염 표면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먼 곳으로부터 물에 녹아 흘러오는 물질에 반응하므로 미각과 후각을 구별하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