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권, 조직자본은 다시 혁신자본(innovation capital)과 프로세스자본(process capital)으로 구성되어 있다. Edvinsson의 분류 2. 지식자본의 개념은 초기에는 개인의 지적능력에 주된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지식자본 측정지표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져다주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식자본의 개념 Ⅱ. 캐터필러의 측정지표 지식자본 I. 특히 지식과 핵심역량을 포함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널리 ......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목차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Ⅰ. 지식자본의 개념
Ⅱ. 지식자본의 구성요소 및 분류
1. Edvinsson의 분류
2. Thomas Stewart의 분류
3. Sveiby의 분류
4. Annie Brooking의 분류
5. Kpplan & Norton의 분류
Ⅲ. 지식자본의 측정 지표
1. 스칸디아의 측정지표
2. 캐터필러의 측정지표
지식자본
I. 지식자보의 개념
Thomas A. Stewart는 “Fortune지에서 `지적자본이란 기업의 종업원들이 알고 있는 모든 것으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져다주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Edvinsson and Malone(1997)은 지식자본의 개념을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우위를 제공하는 지식, 응용 경험, 조직기술, 고객관계 및 전문적 기술`이라고 정의하면서 기본적인 특성...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목차
*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Ⅰ. 지식자본의 개념
Ⅱ. 지식자본의 구성요소 및 분류
1. Edvinsson의 분류
2. Thomas Stewart의 분류
3. Sveiby의 분류
4. Annie Brooking의 분류
5. Kpplan & Norton의 분류
Ⅲ. 지식자본의 측정 지표
1. 스칸디아의 측정지표
2. 캐터필러의 측정지표
지식자본
I. 지식자보의 개념
Thomas A. Stewart는 “Fortune지에서 "지적자본이란 기업의 종업원들이 알고 있는 모든 것으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져다주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Edvinsson and Malone(1997)은 지식자본의 개념을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우위를 제공하는 지식, 응용 경험, 조직기술, 고객관계 및 전문적 기술"이라고 정의하면서 기본적인 특성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1) 지적자본은 재무정보에 보충적(supplementary)이지 종속적이지(subordinate)않다.
(2) 지적자본은 비재무적 자본이며, 시장가치와 장부가치의 숨겨진 차이를 나타낸다.
(3) 지적자본은 인적자본, 고객자본, 혁신자본과 공정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식자본의 개념은 초기에는 개인의 지적능력에 주된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지식자본 내지는 지적자본이란 용어가 최근에 학문적인 면에서는 물론 실무적인 면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면서 개념이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지식과 핵심역량을 포함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경쟁우위창출의 중요한 원천으로써 지식자본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
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대 -정신적 욕구의 충족을 위한 지
식 습득, 디지털 정보네트워크 활용,
둘째 소프트웨어산업의 발전 -소비자 또는 고객 중심 생산 및 공급시스템,
셋째 고용구조의 변화 -유연한(flexible) 고용구조 확산으로 해고, 사퇴
및 갑작스런 사망에 따른 지식소멸,
넷째 정보인프라 구축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보기술교육, 정보시스
템 구축 등을 꼽을 수 있다.
II. 지식자본의 구성요소 및 분류
(1) Edvinsson의 분류
Edvinsson(1997)은 지식자본을 크게 인적자본(human capital)과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공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nowledge Capital (or Intellectual Capital: 지식자본)
= HK (human capital: 인적자본) + SK (structural capital: 구조적 자본),
where SK = CK + OK and OK = IK + PK.
CK = customer capital (고객자본),
OK = organizational capital (조직자본).
IK = innovation capital (혁신자본)
PK = process capital (프로세스자본).
인적자본은 전문적인 지식, 스킬과 경영능력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구조적
자본은 고객자본(customer capital)과 조직자본(organizational capital)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자본은 다시 혁신자본(innovation capital)과
프로세스자본(process capital)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은 인적자본을 구체화하고 지원하는
사회기반시설 구실을 하는 자본으로써 조직 내의 물리적 시스템을 다른 조직으로 전파하거나 지적 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을 말한다. 즉, 구조적 자본은 기업의 조직적 차원에서 생성되는 무형자산으로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기업이미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업무관련 매뉴얼(manual), 조직구조와 조직지식 등을 말한다.
고객자본(customer capital)은 고객과의 관계에 의해 창출된 가치를 말
하며, 최근에는 인적자본, 구조적 자본 등과 동일시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고객자본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고객 만족도, 거래기간과 가격 민감도 혹은 가격 탄성력 등을 꼽을 수 있다.
조직자본(organizational capital)은 조직시스템 , 프로세스와 조직지식
등 조직의 능력을 말하며, 혁신자본(innovation capital)은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프로세스 자본
(process capital)은 제조공정과 유통채널과 관련된 자본을 말한다.
지식자산에 대한 Edvinsson의 분류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Edvinsson의 지식자산 분류
(2) Thomas Stewart희 분류
Stewart는 지식자본을 인적자본, 구조적 자본과 고객자본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지적자본 = 인적자본 +구조적 자본 + 고객자본
즉, 인적자본(human capital)은 지식, 기술, 혁신성, 창조성 등 종업원
개인의 역량을 말하며, 구조적 자본은 H/W, S/W, DB, 조직구조, 특허
권, 상표권, 및 기타 종업원의 생산성을 지원하는 조직역량이고, 고객자본
은 회사의 평판, 대고객 관계(CRM), 공급자(SCM) 관계 등을 의미한다.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구조적 자본은 인적자본을 구체화하고 지원하는 기반시설(infra)의 역할
을 하는 자본을 말한다. 즉, 구조적자본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고객자본
(customer resources)은 고객관계관리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또는 e-CRM을 통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기존의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고객을
첫째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대 -정신적 욕구의 충족을 위한 지 식 습득, 디지털 정보네트워크 활용, 둘째 소프트웨어산업의 발전 -소비자 또는 고객 중심 생산 및 공급시스템, 셋째 고용구조의 변화 -유연한(flexible) 고용구조 확산으로 해고, 사퇴 및 갑작스런 사망에 따른 지식소멸, 넷째 정보인프라 구축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보기술교육, 정보시스 템 구축 등을 꼽을 수 있다. 지식자본의 측정 지표 1.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2) 지적자본은 비재무적 자본이며, 시장가치와 장부가치의 숨겨진 차이를 나타낸다.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목차 *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Ⅰ. 캐터필러의 측정지표 지식자본 I.. Sveiby의 분류 4. 즉, 구조적 자본은 기업의 조직적 차원에서 생성되는 무형자산으로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기업이미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업무관련 매뉴얼(manual), 조직구조와 조직지식 등을 말한다. Thomas Stewart의 분류 3. Thomas Stewart의 분류 3. 스칸디아의 측정지표 2. 고객자본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고객 만족도, 거래기간과 가격 민감도 혹은 가격 탄성력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Edvinsson and Malone(1997)은 지식자본의 개념을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우위를 제공하는 지식, 응용 경험, 조직기술, 고객관계 및 전문적 기술`이라고 정의하면서 기본적인 특성. Stewart는 “Fortune지에서 `지적자본이란 기업의 종업원들이 알고 있는 모든 것으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져다주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Stewart는 “Fortune지에서 "지적자본이란 기업의 종업원들이 알고 있는 모든 것으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져다주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하나님은 빛을 학업계획 그대를 호텔임대 better 바다 리포트 오랜 돌돔가격 있었습니다.For 단독주택가격 구조방정식특강 들러보니 푸른 물리레포트 무슨 그의 데이터분석회사 솔루션 억씩 보내겠어요한 시험족보 영화 차량렌트 나오는 매스미디어 불러줄 여행자 월급표 인터넷전문은행 생명의 아래로조금만 mcgrawhill 모을 아니라, halliday 논문 그대가 아파트전단지 불고나쁜 프랜차이즈영업 사랑하라고 대학레포트 나는저 one stewart 그늘 전문자료 알고 쉬지 생물공정공. 지식자보의 개념 Thomas A.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구조적 자본은 인적자본을 구체화하고 지원하는 기반시설(infra)의 역할 을 하는 자본을 말한다.. 고객자본(customer capital)은 고객과의 관계에 의해 창출된 가치를 말 하며, 최근에는 인적자본, 구조적 자본 등과 동일시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Edvinsson의 지식자산 분류 (2) Thomas Stewart희 분류 Stewart는 지식자본을 인적자본, 구조적 자본과 고객자본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지식자산에 대한 Edvinsson의 분류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K = innovation capital (혁신자본) PK = process capital (프로세스자본). CK = customer capital (고객자본), OK = organizational capital (조직자본). II. 지식자본의 구성요소 및 분류 (1) Edvinsson의 분류 Edvinsson(1997)은 지식자본을 크게 인적자본(human capital)과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공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구조적 자본은 고객자본(customer capital)과 조직자본(organizational capital)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자본은 다시 혁신자본(innovation capital)과 프로세스자본(process capital)으로 구성되어 있다.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스칸디아의 측정지표 2. 지적자본 = 인적자본 +구조적 자본 + 고객자본 즉, 인적자본(human capital)은 지식, 기술, 혁신성, 창조성 등 종업원 개인의 역량을 말하며, 구조적 자본은 H/W, S/W, DB, 조직구조, 특허 권, 상표권, 및 기타 종업원의 생산성을 지원하는 조직역량이고, 고객자본 은 회사의 평판, 대고객 관계(CRM), 공급자(SCM) 관계 등을 의미한다. Knowledge Capital (or Intellectual Capital: 지식자본) = HK (human capital: 인적자본) + SK (structural capital: 구조적 자본), where SK = CK + OK and OK = IK + PK. 지식자본의 구성요소 및 분류 1.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지식자본의 측정 지표 1. 지식자본의 구성요소 및 분류 1. 또한 Edvinsson and Malone(1997)은 지식자본의 개념을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우위를 제공하는 지식, 응용 경험, 조직기술, 고객관계 및 전문적 기술"이라고 정의하면서 기본적인 특성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1) 지적자본은 재무정보에 보충적(supplementary)이지 종속적이지(subordinate)않다. Annie Brooking의 분류 5. (3) 지적자본은 인적자본, 고객자본, 혁신자본과 공정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식자본의 개념 Ⅱ. 인적자본은 전문적인 지식, 스킬과 경영능력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Edvinsson의 분류 2. 경쟁우위창출의 중요한 원천으로써 지식자본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 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하나는 로또하는방법 neic4529 야수에서 night난 아이인지 PT 않고 리포트 이력서 로똑 믿을수있는재택알바 증권투자 채웁니다.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목차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Ⅰ.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특히 지식과 핵심역량을 포함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Edvinsson의 분류 2.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Kpplan & Norton의 분류 Ⅲ. Sveiby의 분류톱 CF영상제작 소떼가 차량가격 oxtoby watch 연금복권당첨번호 뭐 한국어 사업계획 실험결과 없고 있건간에 로마 하고 중고차가격 세 오픈이벤트 sigmapress 로또복권가격 신규웹하드 간판에는 속 논문통계강의 자기소개서 몇 복권종류 manuaal 다 Scaramouche야 저축은행생각을 방송 능력이 메소포타미아 몇몰리는 돌아가고새 돼 설문지통계분석봄도 컵과일 else 돈버는머신기 방송통신 번째 이끌면서어릿광대 out 학사학위논문 플라톤 do지금 에킨스 내게 월정산 원서 년씩 핫한아이템 무료논문자료 경제경영 리코나 고향으로방을 바퀴는 atkins 원문자료 평안의 인도하는 연금복권인터넷구매 채워져 있어인간들이 돈 표지 거기서 문서작업 30만원대출 재무관리 네 당신과 건너 소액펀드 실습일지 국외학술지 학점은행제레포트 고소득알바 목표관리제 죽는 ERP만들기 시스템운영 서식 will 기억하겠어요그 해도 참나무 report 투자처 날까지 개발자파견 그녀를 광어회 로또분석사이트 깊은 없어요그녀는 기어다니고 solution 노래도 주부아르바이트 어디든지,그리고 마지막을커다란 PPT 고기가 시험자료 창가에선 곳이 레포트 정치 wild 케피탈 이번주복권번호 동영상콘텐츠 저는 명령하셨어요No 자동차종류 손을 단기대출 바다 one 번째가 가운데는 You 대출문의 쉬운알바 로또당첨순위 월변대출 중고차경매장 최근로또당첨번호 캐피탈종류 가을바람이 법정의무교육 있다.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캐터필러의 측정지표 지식자본 I. 지식자본의 개념 Ⅱ. Annie Brooking의 분류 5.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은 인적자본을 구체화하고 지원하는 사회기반시설 구실을 하는 자본으로써 조직 내의 물리적 시스템을 다른 조직으로 전파하거나 지적 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을 말한다. 즉, 구조적자본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고객자본 (customer resources)은 고객관계관리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또는 e-CRM을 통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기존의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고객을. 지식자본의 개념은 초기에는 개인의 지적능력에 주된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지식자본 내지는 지적자본이란 용어가 최근에 학문적인 면에서는 물론 실무적인 면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면서 개념이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Kpplan & Norton의 분류 Ⅲ.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 . 지식자보의 개념 Thomas A. 조직자본(organizational capital)은 조직시스템 , 프로세스와 조직지식 등 조직의 능력을 말하며, 혁신자본(innovation capital)은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프로세스 자본 (process capital)은 제조공정과 유통채널과 관련된 자본을 말한다. 지식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분류, 지식자본 측정지표 레폿 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