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트사업 현황 업로드 리조트사업환경과 리조트사업의 현황 다운
[리조트사업 현황] 리조트사업환경과 리조트사업의 현황
목차
리조트사업 현황
Ⅰ. 리조트 사업환경
Ⅱ. 리조트사업의 현황
국내 리조트사업 현황
1. 리조트 사업환경
어떠한 사업이든지 사업특성이 있고 그 사업특성에 적합한 경영형태가 있다. 예를 들면 전력사업이나 도시가스사업은 사업특성으로서 특히 공익성이 강조된다. 공공사업경영에는 일정한 제약을 받으며, 막대한 자본을 필요로 하므로 사업지역 조정을 받고 있다. 사업특성은 경영형태를 규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리조트사업 역시 사업특성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리조트 사업 환경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수요측면(demand side) 사업 환경이다. 여기에는 리조트를 구하는 개인별 배경조건, 시장 확대상황 등 리조트 사용자측에서 본 일련의 사업 환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둘째는 공급측면(supply side) 사업 환경이다. 말하자면 이것은 사업주체가 리조트사업에 대응해 나가는 사정이나 상황을 포함하는 것으로 리조트 공급자 측에서 본 일련의 사업 환경을 담고 있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 경제적 배경(background)으로서 리조트사업 전개에 직 간접적으로 어떠한 작용과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소를 말한다.
리조트 사업특성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사업내용이 풍부하다는 것이며, 복합화 하여 사업화되는 것이기도 하다. 사업내용을 분류하는 방법으로서는 사업형태가 입지구분 환경구분 등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복합사업의 경우는 각각 분류를 명확히 하고 리조트 경영계획에 있어서 유의하지 많으면 안 된다.
사업형태에 의한 분류로는 별장이나 콘도분양과 같은 자본회전형과 스키장과 같은 자본시설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입지구분에 의한 분류로는 스키장은 대표적인 산악형, 골프장은 고원형, 마리나는 대표적인 해양형으로 구분된다. 동일사업에도 입지구분은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는 사업내용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입지조건에 따라 개념이 변하는 것은 당연하며, 계획에 있어 유의하여야 한다.
환경구분은 실내형과 실외형을 말한다. 스쿼시나 실내테니스와 같은 실내형과 골프장이나 스키장 같은 실외형 사업은 기상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복합개발의 경우는 기상대책에 대해 충분히 유의하여야 할 사항이다.
리조트경영의 사업계획을 책정하는 데 있어 입지조건이나 지역 간의 경합관계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