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일본어의 경어상 차이 자료등록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상의 차이 Down
[목차]
2. 한국어와 일본어의 敬語상의 차이 일본어는 경어사용에 있어서 사회제도상, 가족관계상, 상하계층별, 또는 내·외부인에 따라 여러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어보다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 있어서는 ‘나’나 ‘내 친구’, 5 - 2 ‘동료’가 ‘간다’는 것을 어른 앞에서는 ‘갑니다’라고 말하면 그만이고, 웃어른이 가실 때는 ‘가십니다’라고 말하면 되지만, 일본어에서는 ‘行(い)きます(갑니다)’, 외에도 나 자신이나 동료가 갈 때는 웃어른 앞이라면 ‘まいります’로 말해야 하고, 어른이나 상사가 가실 때는 ‘いらっしゃいます’로 말해야 된다. 경어는 크게 존경어, 겸양어, 공손어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존경어 : 상대방에 대해 존경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한국어는 보조어간 ‘으(시)’가 특이한 형태로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일본어는 ‘의미를 첨가하는 형식’과 ‘접두사’ 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에는 조사 ‘께’, ‘께서’가 있는데 반해, 일본어에는 조가 ‘には’가 있기는 하지만 널리 쓰이지 않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