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장애인의 문제점과 개입 사례 다운로드
[목차]
1. 뇌성마비 정의
Ⅱ. 환자와 가족의 특성 및 직면하는 주요문제
1. 환자의 반응
2. 가족의 특성
1) 부모의 심리특성
3. 해결되어야 할 문제
1) 친구, 이웃과의 관계변화
2) 가족활동에 있어서의 주요변화
4.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수행 프로그램
1) 환자의 내부체계 조사활동
2) 환자의 외부체계 조사활동
Ⅲ. 사례제시
1. 사례개요
2.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수집
1) 사례사 - 출생력, 아동의 발달과 건강, 가정환경, 외부와의 관계
2) 사회적·정의적 발달
3) 지적 발달수준 - 지적능력, 학력발달 수준,
3. 사정
1) 직면하고 있는 주요문제
2) 개입의 목표
3) 실행계획
4. 사례에 적용한 모델 (인지모델 + 행동수정모델)
뇌성마비인과 그들의 가족 또는 보호자 또한 치료 팀의 핵심 멤버들이다. 그리고 치료의 계획, 의사결정, 그리고 적용에 직접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연구 결과, 가족 지원과 개인의 결단이 뇌성마비인이 장기목표를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 중의 두 가지라고 한다.
그렇지만 너무나 자주 의사와 부모는 개별 증상(특히 걷지 못하는 것)에 근본적인 초점을 두는 것보다 특정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매일 매일의 주요한 치료 초점이 되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이 성인으로 성장하여 사회에서 최대한의 독립성을 획득하도록 돕는 것이다.
Ⅱ. 환자와 가족의 특성 및 직면하는 주요문제
1. 환자의 반응
1) 뇌성마비 아동의 심리 정서적 특성
환자의 심리 정서적인 특징으로는 ① 환자는 자신은 다른 사람과는 다르다는 느낌을 가지며, 새로운 것, 모르는 것, 어려운 것에 대한 공포나 당황, 열등감, 패배(좌절)감을 갖기 쉽다. ② 가정과 학교집단에서는 지위상실감, 전이감, 원치 않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갖는다. ③ 개인적인 관심, 부모의 사랑을 깨닫지 못하고 고독해 한다. ④ 자신을 부담과 걱정, 낭비, 실망의 원천이라고 느낀다. ⑤ 야망을 포기해야 한다는데 실망감을 느낀다. ⑥ 신체적 결함이 있는 사람은 열등감이 크다. 자신이 남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며, 완전한 사람이 되고자 하는 욕…(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