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을 비교하여 서술해 봅시다. DownLoad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어느 한 사례나 복지에 관련되는 부분을 조사하고자 할 때 표집을 이용한다. 표집 (Sampling)은 연구에서 모집단의 대표적 단위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일부 집단의 표본을 선정하여 연구한 결과와 모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가 거의 같을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표집은 표본을 통하여 모집단을 추론한다. 여기서 표집의 주목적은 표본으로부터 획득한 표본의 특성으로 통계를 사용해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고자 한다. 추론을 통하여 시간과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간혹 모집단이 무한히 많은 경우와 모집단의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전수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는 자동차의 안전도를 검사를 하는 파괴적인 조사의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라고 말할 수 있다. 표본은 정확한 자료의 제공이 기반이 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간혹 전수 조사로 양이 많아 조사 집계 과정에서 나오는 비표본 오차도 감안을 하여야 한다. 우리는 표본을 모집하여 다른 복지에 관련되는 조사를 하고 통계치를 만들어 낸다. 이를 발판으로 복지 정책과 대안을 만들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론에서는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을 비교해 설명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표집과정
① 모집단 규정, 표집틀 확보, 표집방법 결정, 표본의 크기 결정, 표집 실시 등의 단계로 수행한다.
② 모집단을 규정하여 일반화 한다. 첫째 명확한 모집단의 규정과 표본의 대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본추출 단위와 범위, 크기,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둘째 표본추출단위는 개인과 기업, 국가와 같은 일반적 단위와 알코올중독자, 한부모가족 등처럼 특서을 지닌 단위로 한다. 셋째 표본추출범위는 전국적 범위로 조사를 하고, 특정 지역만을 조사하는지에 대한 범위를 정한다. 그 다음 표본의 크기와 시기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끝으로 추출되는 표본은 모집단의 분포와 유사한지에 대해서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③ 표집틀을 확보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