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유통 구조 자료실 의약품 유통구조의 유형 및 실태에 관한 연구 레포트
[목차]
I. 서론 서론에서는 우리나라 의약품 유통구조를 개괄적으로 서술 II. 우리나라 의약품 유통 구조의 여러 가지 경로(유형)ƒ. 도매상경로„. 지거래 경로…. 소매겸업 도매상의 소매경로†. 소매단계에서 도매 단계로의 역류경로‡. 중개상(브로커, 전매꾼)을 통한 경로ˆ. 소매상의 담합 구매‰. 대리점의 유통경로 III. 개략적인 유통구주의 개선방안 우리나라 현황 유통구조에 대한 문제점들에 대해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다.ƒ. 정부부문의 역할과 개선방안„. 제약업자의 개선방안…. 도매상부문의 개선방안†. 소매상 부문의 개선방향 Ⅳ. 결론 위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우리나라 의약품 유통구조의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
II. 우리니라 의약품유통구조의 여러 가지 경로(유형) ƒ. 도매상경로 정상적이며 선진형 유통방식이 도매상을 경유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제약업자-도매상-소매상(약국)-소비자로 일렬. 순차로 이어지는 방법이며, 우리 나라에서 추구하는 유통일원화방식과 같은 맥락의 유통경로라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병의원에 대한 의약품의 공급에 대해서는 1994년 7월 18일 보건복지부의 약사법 시행규칙 제 57조 1항 7호의 단서조항으로 인해 1백 병상 이상의 의료기관에 국한된 보험 의약품의 유통일원화시책으로 인해 도매상을 통해서만 의약품을 공급받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이 도매업자를 경유하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 직거래 경로 직거래 경로란 제약업자가 생산한 의약품을 도매업자를 거치지 않고 직접소매로 판매하는 유통방식이다. 이 방식에 의한다면 제약업자가 유통부분을 담당해야 하므로 판매 및 유지관리비를 제약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의약품 유통구조는 앞의 도매상 경로처럼 제조에서 도매로 도매에서 소매로 소매에서 소비자로 일원화되어 이어지는 것이 정상적이나 우리나라 의약품 유통구조는 이와 같은 정상적인 유통체계가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의약품유통경로가 정상적이다. 비정상적이다 하는 판단은 주로 제약업자에서 도매상으로 흐르는 도매유통의 비중을 가지고 하는데 도매유통 비중이 100%인 유통경로라 볼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