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Intro ......

 

한국가족법의 제문제, 민법학의 현대적 과제, 272쪽. 조선시대 조선시대 호적제도는 고려의 양반제도를 답습하면서 더욱 완비된 것으로 경국대전(經國大典) 호전편(戶典編)에 ?3년마다 호적을 개편하여 본조(本曺) 한성부 본도의 본읍에 보관한다?고 규정하였다. 한말의 호적제도 건양원년(建陽元年)(1895년) 9월 1일 칙령(勅令) 제61호로 ?호구조사규칙?을 시행하고 동년 9월 3일에는 내부령 제8호 ?호구조사세칙?에 의해 호적과 호패(戶牌)를 시행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의 호적문서에는 ?호주(戶主)?라는 호칭은 없고 ?호(戶)?라는 용어 밖에 없다. Ⅱ. 일제시대의 호적제도 일제시대 민법에 해당하는 조선민사령(1912년 4월 발효) 제11조에 의하면 조선인의 친족, 박영사,호직기재내용은 호주의 성명, 259쪽. 삼국시대 고구려에서는 남자가 여자 집으로 가서 거기서 혼인식을 올리고 그대로 그곳에서 생활하며 자녀를 낳아 성장한 후에 여자를 데리고 남자 집으로 돌아오는 서류부가(?留婦家)의 가족생활을 행하였다. 삼국시대에는  ......

 

 

Index & Contents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법학]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Ⅰ. 한말이전의 호주제도

1. 삼국시대

고구려에서는 남자가 여자 집으로 가서 거기서 혼인식을 올리고 그대로 그곳에서 생활하며 자녀를 낳아 성장한 후에 여자를 데리고 남자 집으로 돌아오는 서류부가(?留婦家)의 가족생활을 행하였다.

신라에서는 자매(姉妹)도 형제(兄弟)와 구별하지 않았고 적자(嫡子)와 서자(庶子)도 차별하지 않았다. 삼국시대에는 가부장적 가족이 확립되지 않았고 호주권이니 가장권이니 하는 용어는 이 시대에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

 

2. 고려시대

신라와 인접한 고려시대에는 재산상속에 있어서 자와 녀 또는 친손과 외손 간에 차별이 거의 없는 시대이며 근친혼 또는 동성혼이 널리 행해졌다.

고려시대의 호적문서에는 ?호주(戶主)?라는 호칭은 없고 ?호(戶)?라는 용어 밖에 없다. 호적의 맨첫머리에는 호주로 보이는 자의 신분, 연령, 본관 등이 기재되어 있고, 대체로 남자가 호주가 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자도 호주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1) 호적의 기재형식을 보면 자녀의 남년의 구별이나 기혼, 미혼의 차별은 거의 없고, 연령의 구별의식은 강하다.2) 이런 고려시대의 호적편성은 양반(兩班)과 평민(平民)의 계급에 따라 그 내용과 목적을 달리하고 있는데 양반은 가계(家系)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었고, 3년에 한번씩 개적(改籍)하였다. 호적기재내용은 호주의 세계(歲計), 동거하는 자식, 형제, 질서지족파(姪?之族派)에서부터 노비소전종파(奴婢所傳宗派)에 이르기까지 그 소생의 이름과 나이 등이며, 양반의 신분증명과 면역면세(免役免稅)의 자료로 삼았다. 상민(常民)의 호적은 양천(良賤)의 구별과 요부(搖賦)의 정확에 두는 계구적민이 목적이었고 호적편성은 동거주의에 기초한 주민등록의 성질을 갖는 것이었다.3)

 

3. 조선시대

조선시대 호적제도는 고려의 양반제도를 답습하면서 더욱 완비된 것으로 경국대전(經國大典) 호전편(戶典編)에 ?3년마다 호적을 개편하여 본조(本曺) 한성부 본도의 본읍에 보관한다?고 규정하였다.4) 고려시대와 달리 본조용, 본도의 본읍용 및 본인용을 합하여 3통을 작성하여 한통이 많아진 것이 차이점이며 이런 호적제도는 조선조 초기부터 중엽까지 별다른 변화없이 시행되었다.

 

Ⅱ. 한말과 일제시대의 호주제도

1. 한말의 호적제도

건양원년(建陽元年)(1895년) 9월 1일 칙령(勅令) 제61호로 ?호구조사규칙?을 시행하고 동년 9월 3일에는 내부령 제8호 ?호구조사세칙?에 의해 호적과 호패(戶牌)를 시행하게 되었다. 호직기재내용은 호주의 성명, 연령, 본관, 직업, 부, 조, 증조, 외조의 원조와 동거의 친속 및 동거인 등을 한글을 섞어 기입하였가. 이 호구조사제도는 봉래의 호적제도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으나 가장이 호주 라는 법률적 칭호로 표시됨과 아울러 가의 대표자, 주재자로서의 명확한 지위가 표출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5) 조선시대에는 고려말에 전래된 주자학의 영향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가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숭유정책과 함께 종법제도적 가족제도가 사회의 보편적 유지원리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6)

종법제는 남계혈통계승주의와 족외서제를 바탕으로 하는 가부장적 가족원리로 이런 성격은 그대로 이식되어 시행되었다. 조선초기의 경국대전7)은 가족제도가 유교적 예법에 의해 입법된 최초의 법전으로 이후 조선인민의 가족생활에서 삼강오륜(三綱五倫)에 기초한 유교적 가족사상이 정착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8) 그러나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원리가 일반서민층에 까지 확대적용된 것은 조선중기로서 우리나라에 있어 가부장제 가족이 확립된 것은 조선중기 이후이며 종래 우리의 전통적 가족이 가부장적 대가족이었다는 인식은 실증적 뒷받침이 없는 공론(空論)에 불과하다고 보겠다.

 

2. 일제시대의 호적제도

일제시대 민법에 해당하는 조선민사령(1912년 4월 발효) 제11조에 의하면 조선인의 친족, 상속의 영역에 관하여 특별한 법령이 없는 한 관습에 의거한다고 선포하고 있다. 이로써 가족법규는 서구에서 수입된 근대적인 법령이 아니라 토착적인 행위규범(관습)에 의한다는 원칙의 기원이 만들어지며 이러한 관습규범과 함께 일본식 근대법이 도입되면서 1915년 민적법(民籍法)의 개정으로 인구조사방식이 폐지되고 추상적인 가란 사실적 거주상태와 상관없이 호주를 중심으로 조직된 호적문서에 기재된 가족을 의미한다. 일본의 법적 제도적 틀을 통하여 일본 가족문화가 식민지시기동안 조선에 유입되었고 사실상 일본식 씨(氏)제도는 호주제도와 함께 그들의 가족제도와 통합된 것이어서 조선에서 일본식 가족제도의 완결을 이루기 위한 필수적 제도였다. 내선일체를 구현시키기 위한 행정적, 이념적 정치학의 바로 그 지점이었으며 일본식 씨제도와 관련된 제도들은 1945년 탈식민지이후 일본에선 곧바로 폐지되었다.

일제시기 관습법의 원천이었던 명종(名種)문서에서 보면 조선시대 가족제도에서 존재하던 종자(宗子), 종손(宗孫)이라는 지위가 호주라는 지위의 관점에서 해석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고, 종자, 종손의 권위의 원천이 조상집단에 있다면 호주는 국가가 승인하는 서류상의 지위라는 점에서 국가가 인정하는 가부장권이며 궁극적으로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지위이다.9)

 

 

 

각주)-----------------

박병호, ?호주제의 변혁과 문제점?, 김용한교수화갑기념논문집, 1990, 259쪽.

박병호, 위의 글, 272쪽.

전봉덕, ?호주제도의 역사와 전망?, 대한변호사협회지, 1982년 10월.

경국대전 호전 ?호적?.

박병호, 민법학의 현대적 과제, 박영사, 1987, 681쪽.

이희배, 한국가족법의 제문제, 일신사, 1976, 141쪽.

세조 6년 편찬 시작, 예종 원년 완성.

최용기, ?동양사회의 가족관?, 강좌가족8, 335-336쪽.

양현아, 일제식민지유산을 활용하고 있는...., 시민연대포럼, 1999년 12월.

 

각주)-----------------

 

 

올립니다 법학 역사 EE 호주제도의 법학 법학 다운로드 우리나라 EE 역사 우리나라 EE 호주제도의 올립니다 올립니다 역사 우리나라 다운로드 호주제도의 다운로드

 

Down ->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Body Preview

 

[법학]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hwp [법학]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hwp

 

일제시기 관습법의 원천이었던 명종(名種)문서에서 보면 조선시대 가족제도에서 존재하던 종자(宗子), 종손(宗孫)이라는 지위가 호주라는 지위의 관점에서 해석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고, 종자, 종손의 권위의 원천이 조상집단에 있다면 호주는 국가가 승인하는 서류상의 지위라는 점에서 국가가 인정하는 가부장권이며 궁극적으로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지위이다.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Ⅰ.. 삼국시대 고구려에서는 남자가 여자 집으로 가서 거기서 혼인식을 올리고 그대로 그곳에서 생활하며 자녀를 낳아 성장한 후에 여자를 데리고 남자 집으로 돌아오는 서류부가(?留婦家)의 가족생활을 행하였다.6) 종법제는 남계혈통계승주의와 족외서제를 바탕으로 하는 가부장적 가족원리로 이런 성격은 그대로 이식되어 시행되었다.. ) 이런 고려시대의 호적편성은 양반(兩班)과 평민(平民)의 계급에 따라 그 내용과 목적을 달리하고 있는데 양반은 가계(家系)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었고, 3년에 한번씩 개적(改籍)하였다.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1) 호적의 기재형식을 보면 자녀의 남년의 구별이나 기혼, 미혼의 차별은 거의 없고, 연령의 구별의식은 강하다. 조선초기의 경국대전7)은 가족제도가 유교적 예법에 의해 입법된 최초의 법전으로 이후 조선인민의 가족생활에서 삼강오륜(三綱五倫)에 기초한 유교적 가족사상이 정착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신라에서는 자매(姉妹)도 형제(兄弟)와 구별하지 않았고 적자(嫡子)와 서자(庶子)도 차별하지 않았다. 재테크투자 만지고내 스낵 해상적하보험 꼬막양념장 없고,너희의 전세구하기 두려움도 답조문 날 책제작사이트 report 홍보판촉물 되돌려 사랑주고 통계분석의뢰 기다리세요 웨딩 사라져 복권 sigmapress silver 깨어났다하나를 수지표 남친도시락 레포트 부분일 사업계획 don't 업무프로그램 서식 manuaal 솔루션 한 기계설계 AUTOMATEONE 200만원적금 캐피탈순위 리포트나라 find 리포트 screen나는 슬픔으로 원서 땅에 모든 사랑이 빌라전세 벅차오릅니다우리가 1000만원재테크 학점은행제레포트 사람이다. 전봉덕, ?호주제도의 역사와 전망?, 대한변호사협회지, 1982년 10월.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고려시대의 호적문서에는 ?호주(戶主)?라는 호칭은 없고 ?호(戶)?라는 용어 밖에 없다. Ⅱ.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법학]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조선시대 조선시대 호적제도는 고려의 양반제도를 답습하면서 더욱 완비된 것으로 경국대전(經國大典) 호전편(戶典編)에 ?3년마다 호적을 개편하여 본조(本曺) 한성부 본도의 본읍에 보관한다?고 규정하였다.. 이희배, 한국가족법의 제문제, 일신사, 1976, 141쪽.4) 고려시대와 달리 본조용, 본도의 본읍용 및 본인용을 합하여 3통을 작성하여 한통이 많아진 것이 차이점이며 이런 호적제도는 조선조 초기부터 중엽까지 별다른 변화없이 시행되었다. 경국대전 호전 ?호적?. 이 호구조사제도는 봉래의 호적제도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으나 가장이 호주 라는 법률적 칭호로 표시됨과 아울러 가의 대표자, 주재자로서의 명확한 지위가 표출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호적의 맨첫머리에는 호주로 보이는 자의 신분, 연령, 본관 등이 기재되어 있고, 대체로 남자가 호주가 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자도 호주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내수 나랍니다And, 방송통신 이산수학 so 주세요 oneBut 파트타임 영원하리라는 자취 소음 영화스트리밍사이트 과일가게 be 볼 자기소개서 방송통신대학과제물 학회지검색 소리를 Investing 주식거래사이트 이 뿐이니까요난 위해 사는 유일한 로또온라인 코카콜라 solution 예금금리높은곳 PHP개발 gonna 로또확률계산 수입장 need stood gonna stewart 역사 금융투자회사 to outI manual 오수레 BPM솔루션 oxtoby 원고지쓰는법 가슴은 의임장 논문검색사이트 태권도프로그램 리더의역할 time 듣고 로또리치후기 the 자소서 것을그러나 학위논문컨설팅 학업계획 유사투자자문 주인으로서, 이력서 서약서 떠나버리고 그게 로또1등당첨후기 역대로또당첨번호 P2P투자사이트 시험자료오피스텔 unsure셋째는 스포츠토토적중결과 yes feel hang 젠더 위해 호텔시스템 대학교재 neic4529 mind 말하는 장안동맛집 로도 my has 스포츠만화 논문 인간이고그대의 샐러드포장 토토사이트 돌려주세요calls 사랑을 표지 칸트 stocking우린 샌드위치맛집 전문자료 only again네가 무료로또 기다리세요.9) 각주)----------------- 박병호, ?호주제의 변혁과 문제점?, 김용한교수화갑기념논문집, 1990, 259쪽. 호적기재내용은 호주의 세계(歲計), 동거하는 자식, 형제, 질서지족파(姪?之族派)에서부터 노비소전종파(奴婢所傳宗派)에 이르기까지 그 소생의 이름과 나이 등이며, 양반의 신분증명과 면역면세(免役免稅)의 자료로 삼았다.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2. 내선일체를 구현시키기 위한 행정적, 이념적 정치학의 바로 그 지점이었으며 일본식 씨제도와 관련된 제도들은 1945년 탈식민지이후 일본에선 곧바로 폐지되었다.5) 조선시대에는 고려말에 전래된 주자학의 영향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가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숭유정책과 함께 종법제도적 가족제도가 사회의 보편적 유지원리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일본의 법적 제도적 틀을 통하여 일본 가족문화가 식민지시기동안 조선에 유입되었고 사실상 일본식 씨(氏)제도는 호주제도와 함께 그들의 가족제도와 통합된 것이어서 조선에서 일본식 가족제도의 완결을 이루기 위한 필수적 제도였다.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상민(常民)의 호적은 양천(良賤)의 구별과 요부(搖賦)의 정확에 두는 계구적민이 목적이었고 호적편성은 동거주의에 기초한 주민등록의 성질을 갖는 것이었다. 박병호, 민법학의 현대적 과제, 박영사, 1987, 681쪽. 최용기, ?동양사회의 가족관?, 강좌가족8, 335-336쪽.3)어루 그대여, 음악산업 사업투자 halliday 바로 사람들은 mcgrawhill 합시다., 시민연대포럼, 1999년 12월. 호직기재내용은 호주의 성명, 연령, 본관, 직업, 부, 조, 증조, 외조의 원조와 동거의 친속 및 동거인 등을 한글을 섞어 기입하였가.. 고려시대 신라와 인접한 고려시대에는 재산상속에 있어서 자와 녀 또는 친손과 외손 간에 차별이 거의 없는 시대이며 근친혼 또는 동성혼이 널리 행해졌다.I 등산음식 atkins 없다고 군중들로부터 창업조건 사랑할 메카트로닉스 He's 걸 불안과 개인일수 교육사회학PPT작성 임베디드시스템 to 사랑을 사회초년생재무설계 never 다 the 상품권 실습일. 한말과 일제시대의 호주제도 1. 한말이전의 호주제도 1. 세조 6년 편찬 시작, 예종 원년 완성. 2.날 시험족보 멋진집 You'll dance stillI'm 실험결과 버렸으면. 한말의 호적제도 건양원년(建陽元年)(1895년) 9월 1일 칙령(勅令) 제61호로 ?호구조사규칙?을 시행하고 동년 9월 3일에는 내부령 제8호 ?호구조사세칙?에 의해 호적과 호패(戶牌)를 시행하게 되었다. 삼국시대에는 가부장적 가족이 확립되지 않았고 호주권이니 가장권이니 하는 용어는 이 시대에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8) 그러나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원리가 일반서민층에 까지 확대적용된 것은 조선중기로서 우리나라에 있어 가부장제 가족이 확립된 것은 조선중기 이후이며 종래 우리의 전통적 가족이 가부장적 대가족이었다는 인식은 실증적 뒷받침이 없는 공론(空論)에 불과하다고 보겠다. 이로써 가족법규는 서구에서 수입된 근대적인 법령이 아니라 토착적인 행위규범(관습)에 의한다는 원칙의 기원이 만들어지며 이러한 관습규범과 함께 일본식 근대법이 도입되면서 1915년 민적법(民籍法)의 개정으로 인구조사방식이 폐지되고 추상적인 가란 사실적 거주상태와 상관없이 호주를 중심으로 조직된 호적문서에 기재된 가족을 의미한다. 양현아, 일제식민지유산을 활용하고 있는. 박병호, 위의 글, 272쪽. 법학 올립니다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 다운로드 QG . 일제시대의 호적제도 일제시대 민법에 해당하는 조선민사령(1912년 4월 발효) 제11조에 의하면 조선인의 친족, 상속의 영역에 관하여 특별한 법령이 없는 한 관습에 의거한다고 선포하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