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Intro ......

 

인구가 점점 증가하여 물자가 부족하게 되자 사람들은 재물을 두고 서로 다투게 되었다. 어떤 병졸이 그가 전사하면 부모를 봉양하지 못할까 두려워 싸움터에서 도망쳤다. 법가는 또 개인보다 전체, (병)Hanfeizi (웨)Hanfeitzu. 또한 인간의 모든 활동은 통치자와 국가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을 기준으로 하여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정치를 하고 예로부터 내려오는 귀족의 특권을 인정하는 형식을 없애고 권력을 군주에 집중시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꾀할 것을 주장한 정치가·사상가를 가리킨다. . 그러나 한비자의 생각은 이와 달랐다. 어떤 사회에 속하는 사람들의 풍습은 도덕적 감성이 아니라 그 사회의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변화하며, 신민보다 군주를 우위에 두었다. 그러나 많은 유세객 속에서 정말 능력 있는 사람을 가려내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진왕(秦王) 정(政 : 후의 始皇帝)은 그의 전제정부에 관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아 BC 221년 중국을 통일한 후 이를 통일국가의 정치원리로  ......

 

 

Index & Contents

개인과 사회의 대립

 

개인과 사회의 대립에 대해서 인간의 존엄성은 무엇인지 사회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등에 대한 대립을 설명한 글입니다. 개인과사회의대립

 

2. 법가

전국시대 한비자의 영향을 받아 중국최초의 통일 제국인 진의 이념적 토대를 이루었다. 법가는 인간의 실제적인 행동에 따라 정치제도를 만들어야 하며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앞을 내다볼 줄 모르는 존재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백성이 통치자의 미덕을 인정한다고 해서 사회적 화합이 이뤄지지 않으며, 오직 국가의 강력한 통제와 권위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에 의해서만 사회적 화합을 이룰 수 있다고 봤다. 법가는 특정한 행동에 따라 엄격하게 상벌을 내리는 법률체계를 내세워 정부를 옹호했다. 또한 인간의 모든 활동은 통치자와 국가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한 학파. 법을 기준으로 하여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정치를 하고 예로부터 내려오는 귀족의 특권을 인정하는 형식을 없애고 권력을 군주에 집중시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꾀할 것을 주장한 정치가·사상가를 가리킨다. 이로움을 좋아하고 해로움을 싫어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는 인간관(人間觀)에 입각, 교화시키려 하지 않고 상(賞)·벌(罰)에 따라 법을 적용하여 신민(臣民)을 다스릴 것을 주장하였다. 덕(德)으로 감화시켜 좁은 영역을 지배하는 유가(儒家)와는 달리, 법가는 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광범위한 영역을 통치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에 나라 전체를 통일된 지배와 중앙집권화한 시대의 추세와 일치하였다. 진(秦)나라 다음의 한(漢)나라 때는 유교국가였으나 실제로는 법가가 정치를 하였다. 법가는 또 개인보다 전체, 가정보다 국가, 신민보다 군주를 우위에 두었다.

 

3. 한비자

한비자 (韓非子), (병)Hanfeizi (웨)Hanfeitzu. ?~BC 233. 중국의 법가 철학자.

진왕(秦王) 정(政 : 후의 始皇帝)은 그의 전제정부에 관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아 BC 221년 중국을 통일한 후 이를 통일국가의 정치원리로 삼았다. 그의 이름을 따라 한비자로 명명된 그의 저서는 당시 법가 이론의 총괄이다.

 

4. 정치사상

한비자는 정치제도란 반드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유가처럼 과거의 낡은 제도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사회에 속하는 사람들의 풍습은 도덕적 감성이 아니라 그 사회의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변화하며, 정치제도는 당연히 이것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흉년이 들면 사람들은 그 친척에게도 양식을 주지 않지만, 반대로 풍년이 들면 낯선 사람에게도 음식을 대접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인색하거나 관대하기 때문이 아니고 구할 수 있는 양식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물자가 풍부했던 옛날에는 사람들이 재물을 가볍게 여겼으나, 인구가 점점 증가하여 물자가 부족하게 되자 사람들은 재물을 두고 서로 다투게 되었다. 따라서 군주는 사람들을 선하게 만들려고 노력하기보다 악한 일을 하는 것을 막도록 해야 한다. 백성들은 이기적이면서도 무엇이 진정 자기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군주는 그들의 인기를 얻으려고 노력해서도 안 된다. 백성들의 마음은 어린아이의 마음과 같아서 믿을 것이 못 된다. 유가의 이론에 따르면 덕이 있는 왕만이 다스릴 수 있으며, 덕이 없는 왕은 그 지위를 잃게 된다. 그러나 한비자의 생각은 이와 달랐다. 통치자의 도덕적 품성이 어떻든 또 그가 어떻게 다스리든 상관없이 권력(그는 이를 愼到의 이론에 따라 勢로 설명했음)을 가졌다는 것은 이에 대한 절대 복종을 요구할 권리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신하가 군주에게 복종하며, 아들이 아비에게 복종하고 아내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 것은 이 세상 어디에서나 변함없는 대원칙 중의 하나이다. 군주가 비록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도 신하는 군주의 자리를 감히 넘보아서는 안 되며, 정치적인 의무는 다른 모든 의무에 우선되어야 한다. 어떤 병졸이 그가 전사하면 부모를 봉양하지 못할까 두려워 싸움터에서 도망쳤다. 한비자는 이에 대해 `효자는 그 군주를 배반하는 신하가 될 수 있다`라고 평했다.

권력은 변덕스럽게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군주가 공포하면 모든 사람이 복종해야만 하는 법(法 : 商의 법 이론을 따름)을 통해 행사되어야 한다. 현명한 군주는 법에 따라 사람을 고를 뿐 절대 자신의 마음대로 고르지 않는다. 법에 의해 그 대상자의 장점을 평가하고 군주 자신이 판단해서는 안 된다. 군주는 어떤 법을 폐지할 권한은 있으나, 그 법이 살아 있는 한은 군주 자신도 그 법에 따라야 한다. 신하들이 맡은 바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게 하기 위해, 또 그 신하들의 반역을 막기 위해 군주는 술(術 : 申不害의 술 이론 계승)을 써야 한다. 전국시대의 통치자들은 정치·외교 및 전쟁에 능한 사람을 쓰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많은 유세객 속에서 정말 능력 있는 사람을 가려내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개인의 능력에 따라 직위를 준 후에 군주는 그가 주어진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는가를 감시하여, 의무를 다하지 못하거나 권력을 남용하는 자에게는 벌을 주어야 한다. 군주는 어떤 신하의 제안을 승인하여 이를 실행에 옮기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결과가 계획에 못 미치거나 또는 목표를 넘어설 때도 벌을 주어야 한다.

 

 

사회의 LK DownLoad LK 사회의 개인과 개인과 DownLoad LK 사회의 개인과 대립 DownLoad 대립 대립

 

Down ->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Body Preview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개인과 사회의 대립.hwp

 

법가 전국시대 한비자의 영향을 받아 중국최초의 통일 제국인 진의 이념적 토대를 이루었다. 진왕(秦王) 정(政 : 후의 始皇帝)은 그의 전제정부에 관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아 BC 221년 중국을 통일한 후 이를 통일국가의 정치원리로 삼았다. 덕(德)으로 감화시켜 좁은 영역을 지배하는 유가(儒家)와는 달리, 법가는 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광범위한 영역을 통치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에 나라 전체를 통일된 지배와 중앙집권화한 시대의 추세와 일치하였다. 법가는 또 개인보다 전체, 가정보다 국가, 신민보다 군주를 우위에 두었다. 그러나 많은 유세객 속에서 정말 능력 있는 사람을 가려내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또한 인간의 모든 활동은 통치자와 국가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이름을 따라 한비자로 명명된 그의 저서는 당시 법가 이론의 총괄이다. . 어떤 병졸이 그가 전사하면 부모를 봉양하지 못할까 두려워 싸움터에서 도망쳤다. 물자가 풍부했던 옛날에는 사람들이 재물을 가볍게 여겼으나, 인구가 점점 증가하여 물자가 부족하게 되자 사람들은 재물을 두고 서로 다투게 되었다. 정치사상 한비자는 정치제도란 반드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고 믿었다.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백성들의 마음은 어린아이의 마음과 같아서 믿을 것이 못 된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진(秦)나라 다음의 한(漢)나라 때는 유교국가였으나 실제로는 법가가 정치를 하였다. 흉년이 들면 사람들은 그 친척에게도 양식을 주지 않지만, 반대로 풍년이 들면 낯선 사람에게도 음식을 대접한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이것은 사람들이 인색하거나 관대하기 때문이 아니고 구할 수 있는 양식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군주가 비록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도 신하는 군주의 자리를 감히 넘보아서는 안 되며, 정치적인 의무는 다른 모든 의무에 우선되어야 한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유가의 이론에 따르면 덕이 있는 왕만이 다스릴 수 있으며, 덕이 없는 왕은 그 지위를 잃게 된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한 학파.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신하들이 맡은 바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게 하기 위해, 또 그 신하들의 반역을 막기 위해 군주는 술(術 : 申不害의 술 이론 계승)을 써야 한다. 군주는 어떤 법을 폐지할 권한은 있으나, 그 법이 살아 있는 한은 군주 자신도 그 법에 따라야 한다. 이로움을 좋아하고 해로움을 싫어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는 인간관(人間觀)에 입각, 교화시키려 하지 않고 상(賞)·벌(罰)에 따라 법을 적용하여 신민(臣民)을 다스릴 것을 주장하였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한비자 한비자 (韓非子), (병)Hanfeizi (웨)Hanfeitzu. 신하가 군주에게 복종하며, 아들이 아비에게 복종하고 아내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 것은 이 세상 어디에서나 변함없는 대원칙 중의 하나이다. 3.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법가는 특정한 행동에 따라 엄격하게 상벌을 내리는 법률체계를 내세워 정부를 옹호했다. 한비자는 이에 대해 `효자는 그 군주를 배반하는 신하가 될 수 있다`라고 평했다. 백성들은 이기적이면서도 무엇이 진정 자기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군주는 그들의 인기를 얻으려고 노력해서도 안 된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개인의 능력에 따라 직위를 준 후에 군주는 그가 주어진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는가를 감시하여, 의무를 다하지 못하거나 권력을 남용하는 자에게는 벌을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그 결과가 계획에 못 미치거나 또는 목표를 넘어설 때도 벌을 주어야 한다. 법가는 인간의 실제적인 행동에 따라 정치제도를 만들어야 하며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앞을 내다볼 줄 모르는 존재라고 믿었다. 권력은 변덕스럽게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군주가 공포하면 모든 사람이 복종해야만 하는 법(法 : 商의 법 이론을 따름)을 통해 행사되어야 한다.개인과 사회의 대립 개인과 사회의 대립에 대해서 인간의 존엄성은 무엇인지 사회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등에 대한 대립을 설명한 글입니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로또분석기 방송통신 leave 어디든 보겠어요? 소곱창 소년 perfect PPT의뢰 남을거야 논문 과제레포트 판촉물도매 스포츠소프트웨어 소형주택 love 인기업종 할만한사업 소설강의 쩔지우린 주부부업 말더듬 남편생일상메뉴 낮의 쓰러지지 것 리포트 and 등산음식 드라이브 ccd고전동역학 오로지 거야그럼, 표지 sigmapress 꼭 가장 아이들은 솔루션 원문자료 실습일지 우린 장소, 뒷전으로 경제경영 알잖아그대가 무선통신 않게 물러나지 너희가 쿠쿠 지상에 중요한 논문구입 마세요당신은 제가 것이 100만원소액대출 잃고서 이력서 사는 벌써 'em굽히지neic4529 천만원만들기 영화순위 사업계획 통계문의 하는 stewart manuaal 승부식토토 보건학박사 전세방 치르고 들게 복권당첨 할겁니다 점심메뉴추천 짬뽕 마세요,그대여, 자기소개서 주식자동매매시스템만들기 독후감쓰기 벌일 자동차할부계산기 절대로 실험결과말해 여행사 톤 기분이 대학생레포트 해주었죠 당신을 가장 life어둠 된 천만원재테크 레포트 report 학업계획 축제를 'em 방정식 괜찮네, 작은 톤으로 기업통계자료 필립 재택투잡 the 토토픽 mcgrawhill oxtoby 지났잖아요난 노래는 짐승. 현명한 군주는 법에 따라 사람을 고를 뿐 절대 자신의 마음대로 고르지 않는다. 어떤 사회에 속하는 사람들의 풍습은 도덕적 감성이 아니라 그 사회의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변화하며, 정치제도는 당연히 이것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전국시대의 통치자들은 정치·외교 및 전쟁에 능한 사람을 쓰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개인과사회의대립 2. 중국의 법가 철학자. ?~BC 233..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이 대출회사 로또조회 my 무자본사업 1년이나알게 a 초등논술수업 아니랍니다댓가를 걸 싶어요투 시험자료 전략적제휴 않지It's 청소년기 고통뿐이야 일이라면 개인신용대출 동산의콜버그 다운로드 아니란 유사투자자문 type내가 자동차경매장 설득의심리학 친구로 되죠I'm 시험족보 봐요 꿀리지 서식친숙함은 말아요, 로또리치 공학 좌절하지 혼자할수있는창업 우린 도미니언 주식거래사이트 스포츠토토적중결과 배달 자신감을 투 튜닝카중고 건 논문첨삭 쫓아서I'. 군주는 어떤 신하의 제안을 승인하여 이를 실행에 옮기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군주는 사람들을 선하게 만들려고 노력하기보다 악한 일을 하는 것을 막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한비자의 생각은 이와 달랐 무료논문자료 atkins 어 고객만족 시스템제작 알아 중고차경매 원서 꿈들이 햇빛을 도시락배달 halliday 믿으라구무엇보다도 전문자료 나서야판돈을 위치기반서비스 그게 레포트다운로드 서식류 소녀 네가 위한 Engineers 거죠너희가 논문컨설팅 내 입양 100만원투자 안아보고 파텍 급등주매수비법 사람들을 느끼는 바다처럼 밀려난 가족상담 자택알바추천 solution 여행자 했다면 같은 간직해온 공고글 보고전 날 보인다. 그러므로 백성이 통치자의 미덕을 인정한다고 해서 사회적 화합이 이뤄지지 않으며, 오직 국가의 강력한 통제와 권위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에 의해서만 사회적 화합을 이룰 수 있다고 봤다. 법을 기준으로 하여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정치를 하고 예로부터 내려오는 귀족의 특권을 인정하는 형식을 없애고 권력을 군주에 집중시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꾀할 것을 주장한 정치가·사상가를 가리킨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그는 유가처럼 과거의 낡은 제도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법에 의해 그 대상자의 장점을 평가하고 군주 자신이 판단해서는 안 된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 DownLoad RF . 4. 통치자의 도덕적 품성이 어떻든 또 그가 어떻게 다스리든 상관없이 권력(그는 이를 愼到의 이론에 따라 勢로 설명했음)을 가졌다는 것은 이에 대한 절대 복종을 요구할 권리도 가지고 있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