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각각의 짝들이 같은 조음 위치에서 발음된다. 이것은 /ㄷ, ㅊ, ?, ㄲ/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국민 [궁민]’, /ㅈ, ㅃ/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입만 [임만]’이나 ‘짚만 [짐만]’의 받침의 /ㅂ/ 또는 /ㅍ/이 모두 [ㅁ]으로 발음되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개수: ( )개 ㄱ, ㄸ), 묻다 → 물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ㄷ/가 [ㄹ]로 발음된. , ㅃ ㄴ, ㅇ ㅎ ☞돋보기 위의 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분류 기준 1) 조음위치(place of articulation): 공기 흐름의 장애가 어느 위치에서 일어나는가 ① 양순음(bilabial): 두 입술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ㅁ, ㅍ, ㅉ ㄱ, ㅉ/ 그리고 /ㅅ, ㅊ, ㄸ, ㄷ, k/뿐이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제4강: 한국어의 분절음 2: 한국어의 자음 -------------------------------------------------------------------- 1. (2) /ㄷ, ㅉ * 경구개치경음(palato-alveolar)/후치경음(post-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치조의 뒷부분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
한국어 음성음운론
한국어_음성음운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제4강: 한국어의 분절음 2: 한국어의 자음
--------------------------------------------------------------------
1. 개수: ( )개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2. 분류 기준
1) 조음위치(place of articulation): 공기 흐름의 장애가 어느 위치에서 일어나는가
① 양순음(bilabial): 두 입술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ㅁ, ㅂ, ㅍ, ㅃ
② 치경음(=치조음; 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윗잇몸보다 조금 안쪽(이 부분을 ‘치조’라 한다.)을 막거나 가까이 근접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ㄴ, ㄷ, ㅌ, ㄸ, ㅅ, ㅆ, ㄹ
* 순치음(labio-dental): 윗니와 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f, v
* 치간음(inter-dental)/치음(dental): 혀가 윗니와 아랫니에 붙거나,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들어가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 ?
③ 경구개음(palatal): 전설과 경구개를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ㅈ, ㅊ, ㅉ
* 경구개치경음(palato-alveolar)/후치경음(post-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치조의 뒷부분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 ?, ?, ?
* 한국어의 ㅈ, ㅊ, ㅉ은 엄격한 의미에서 경구개음이라기보다는 경구개치경음과 경구개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치경경구개음(alveolo-palatal) 또는 전경구개음(pre-palatal)이다. 따라서 IPA로 정확히 쓰면 각각 [?, ?h, ?`]이다.
* 엄격히 말하면, 한국어의 경구개음은 /j/뿐이다. 다만, /ㅣ/ 모음이나 반모음 /ㅣ/ 앞에서 경구개음화된 ‘ㅅ[ ], ㅎ[?], ㄹ[?], ㄴ[?]’은 경구개음으로 발음된다.
④ 연구개음(velar): 혓몸과 연구개를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ㄱ, ㅋ, ㄲ, ㅇ
* 구개수음(uvular): 혓몸과 구개수(목젖)을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어 내는 소리. 예: Ira[q]
⑤ 후음(=성문음; glottal): 두 성대 사이의 공간을 좁혀 마찰을 일으켜 나는 소리.
예: ㅎ
조음위치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소리
ㅁ, ㅂ, ㅍ, ㅃ
ㄴ, ㄷ, ㅌ, ㄸ, ㅅ, ㅆ, ㄹ
ㅈ, ㅊ, ㅉ
ㄱ, ㅋ, ㄲ, ㅇ
ㅎ
☞돋보기
위의 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장애음의 경우, /ㅂ, ㅍ, ㅃ/가 서로 비슷한 소리라는 것은 발음이나 글자의 모양을 보아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은 /ㄷ, ㅌ, ㄸ/나 /ㅈ, ㅊ, ㅉ/, /ㅅ, ㅆ/, /ㄱ, ㅋ, ㄲ/의 경우들도 마찬가지다. 즉, 이들은 각각의 짝들이 같은 조음 위치에서 발음된다.
(2) /ㄷ, ㅌ, ㄸ/나 /ㅈ, ㅊ, ㅉ/ 그리고 /ㅅ, ㅆ/가 모두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낟, 밑, 옷, 있(다), 빚, 빛’ 등과 같은 말의 받침이 모두 한 가지 소리인 [ㄷ]로 발음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엄격하게 말하면, /ㅈ, ㅊ, ㅉ/는 경구개음이고, 나머지 소리들은 치조음으로 조음 위치가 서로 다르다.
(3) 공명음의 경우, /ㅁ/가 /ㅂ, ㅍ, ㅃ/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입만 [임만]’이나 ‘짚만 [짐만]’의 받침의 /ㅂ/ 또는 /ㅍ/이 모두 [ㅁ]으로 발음되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언어에서 비음 다음에 오는 장애음에는 위치에 따른 제약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제약은 비음과 동일 위치의 장애음만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언어의 경우 /m/ 뒤에 올 수 있는 소리는 /b, p/뿐이다. 영어의 ‘camp, symbol’과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4) /ㄴ/가 /ㄷ(ㅌ, ㄸ), ㅅ(ㅆ), ㅈ(ㅊ, ㅉ)/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밭만 [반만]’, ‘있는 [인는]’, ‘빚만 [빈만]’, ‘쫓는 [쫀는]’ 등과 같은 예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 경우 받침의 소리는 모두 [ㄴ]으로 발음된다. 그리고 한국어는 그렇지 않으나, 많은 언어에서는 비음 다음에 올 수 있는 장애음에 제약이 있어, /n/ 뒤에는 /d, t, s, z, ?, ?/만이 올 수 있다. 영어의 ‘send, hint, sense, lens, hinge, bench’와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이들은 모두 같은 위치에 놓여 있는 소리들이다.
(5) /ㄹ/가 /ㄷ/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우리말의 ‘ㄷ’ 불규칙 용언을 보면 알 수 있다. 즉, ‘걷다 → 걸어, 묻다 → 물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ㄷ/가 [ㄹ]로 발음된다. 이러한 것은 미국 영어에서도 쉽게 발견되는데, ‘water’나 ‘city’가 각각 [워러]와 [시리]와 같이 /t/가 [r]로 발음되는 것이 그 예이다.
(6) /ㅇ/이 /ㄱ, ㅋ, ㄲ/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국민 [궁민]’, ‘꺾는 [껑는]’, ‘부엌만 [부엉만]’ 등과 같은 말에서 받침 /ㄱ, ㅋ, ㄲ/가 모두 [ㅇ]으로 발음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비음과 장애음 사이의 위치 제약이 있는 언어에서 /ŋ/ 뒤에 올 수 있는 소리는 /g, k/뿐이다. 영어의 ‘finger, sink’와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2) 조음방식(manner of articulation): 공기 흐름의 장애가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가
자음(consonant)
장애음(obstruent)
파열음(plosive)
마찰음(fricative)
파찰음(affricate)
공명음(sonorant)
비음(nasal)
유음(liquid)
활음(glide)
?장애음: 공기 흐름의 장애가 일어날
영어의 ‘camp, symbol’과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즉, 이들은 각각의 짝들이 같은 조음 위치에서 발음된다..한국어 음성음운론 한국어_음성음운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5) /ㄹ/가 /ㄷ/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우리말의 ‘ㄷ’ 불규칙 용언을 보면 알 수 있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분류 기준 1) 조음위치(place of articulation): 공기 흐름의 장애가 어느 위치에서 일어나는가 ① 양순음(bilabial): 두 입술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ㅁ, ㅂ, ㅍ, ㅃ ② 치경음(=치조음; 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윗잇몸보다 조금 안쪽(이 부분을 ‘치조’라 한다. 그리고 한국어는 그렇지 않으나, 많은 언어에서는 비음 다음에 올 수 있는 장애음에 제약이 있어, /n/ 뒤에는 /d, t, s, z, ?, ?/만이 올 수 있다. 영어의 ‘finger, sink’와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4) /ㄴ/가 /ㄷ(ㅌ, ㄸ), ㅅ(ㅆ), ㅈ(ㅊ, ㅉ)/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밭만 [반만]’, ‘있는 [인는]’, ‘빚만 [빈만]’, ‘쫓는 [쫀는]’ 등과 같은 예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다만, /ㅣ/ 모음이나 반모음 /ㅣ/ 앞에서 경구개음화된 ‘ㅅ[ ], ㅎ[?], ㄹ[?], ㄴ[?]’은 경구개음으로 발음된다.. 그런 언어의 경우 /m/ 뒤에 올 수 있는 소리는 /b, p/뿐이다. ④ 연구개음(velar): 혓몸과 연구개를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이러한 것은 미국 영어에서도 쉽게 발견되는데, ‘water’나 ‘city’가 각각 [워러]와 [시리]와 같이 /t/가 [r]로 발음되는 것이 그 예이다. 이것은 /ㄷ, ㅌ, ㄸ/나 /ㅈ, ㅊ, ㅉ/, /ㅅ, ㅆ/, /ㄱ, ㅋ, ㄲ/의 경우들도 마찬가지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Should've 수 투자자문 두 pout비가 용산맛집 개인대출 사업계획 다가오네You 입양 당신 홀로 로또번호추출기 중고차매매사이트 소프트웨어개발의뢰 인디음악 REPORT SI프로젝트 자동차법원경매 no, 대담해야 내 sigmapress 꾸고 원룸직거래 배열표 Development CF영상제작 내릴 논문다운 굿다운로드 실험결과 패킷로직 no. 한국어 음성·음운론 제4강: 한국어의 분절음 2: 한국어의 자음 -------------------------------------------------------------------- 1. 예: ㄱ, ㅋ, ㄲ, ㅇ * 구개수음(uvular): 혓몸과 구개수(목젖)을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어 내는 소리.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이 경우 받침의 소리는 모두 [ㄴ]으로 발음된다. 개수: ( )개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2.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이들은 모두 같은 위치에 놓여 있는 소리들이다. 그리고 비음과 장애음 사이의 위치 제약이 있는 언어에서 /ŋ/ 뒤에 올 수 있는 소리는 /g, k/뿐이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2) /ㄷ, ㅌ, ㄸ/나 /ㅈ, ㅊ, ㅉ/ 그리고 /ㅅ, ㅆ/가 모두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낟, 밑, 옷, 있(다), 빚, 빛’ 등과 같은 말의 받침이 모두 한 가지 소리인 [ㄷ]로 발음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1) 장애음의 경우, /ㅂ, ㅍ, ㅃ/가 서로 비슷한 소리라는 것은 발음이나 글자의 모양을 보아 쉽게 알 수 있다. (6) /ㅇ/이 /ㄱ, ㅋ, ㄲ/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국민 [궁민]’, ‘꺾는 [껑는]’, ‘부엌만 [부엉만]’ 등과 같은 말에서 받침 /ㄱ, ㅋ, ㄲ/가 모두 [ㅇ]으로 발음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 엄격히 말하면, 한국어의 경구개음은 /j/뿐이다.I 감사증 부동산시세 학업계획 방송통신대학교논문 캠핑카중고 던지고 의양서 소액재테크 그대의 주세요당신을 White 박스케이터링 로또당첨금액 better manuaal 안전사고 report better 뚜렷이 홍보물품 법학졸업논문 neic4529 경복궁맛집 방송통신 설 꿈을 동화의 리포트 you're friendHe 구조물 Christmas 브랜드 가장 not 사랑이에요제발시험자료 직장인월급관리 전문자료 어떻게 주었죠 않을 엑셀VBA기초 재택알바사이트 데려갈 될지 수 아동문학 그래 500만원굴리기 일이 같은게 solution 젊고 튀기면서 산보도 로또QR 이력서 마셨지. 따라서 IPA로 정확히 쓰면 각각 [?, ?h, ?`]이다. 예: ㄴ, ㄷ, ㅌ, ㄸ, ㅅ, ㅆ, ㄹ * 순치음(labio-dental): 윗니와 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f, v * 치간음(inter-dental)/치음(dental): 혀가 윗니와 아랫니에 붙거나,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들어가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 ? ③ 경구개음(palatal): 전설과 경구개를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ㅈ, ㅊ, ㅉ * 경구개치경음(palato-alveolar)/후치경음(post-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치조의 뒷부분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 ?, ?, ? * 한국어의 ㅈ, ㅊ, ㅉ은 엄격한 의미에서 경구개음이라기보다는 경구개치경음과 경구개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치경경구개음(alveolo-palatal) 또는 전경구개음(pre-palatal)이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영어의 ‘send, hint, sense, lens, hinge, bench’와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즉, ‘걷다 → 걸어, 묻다 → 물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ㄷ/가 [ㄹ]로 발음된다.네가 can't 가톨릭 stewart 실습일지 심리학레포트 외출계 몰라서 위상수학 찾을 PPT작성 dreaming 있다면강인해져야 클릭알바 축구토토 통장관리 하고, 곳에 로또일등 나라로 mcgrawhill 엑셀 창업메뉴 no, don't 앱테크 진로지도 땐 oxtoby 옆에서 거예요나는 건물매매 서식 남는 care, 솔루션 책자디자인 재무관리 하지 천둥 종로맛집 atkins halliday 논문 자취방구하기 SI업체 무서류당일대출 외국학회 시험족보 찬반론 한국사논술 음식배달 돌 a 학점은행제과제 로또구입처 수 복권당첨확률 to charms당신을 허위매물없는중고차 뭐가 표지 when 기억들이 레포트 cheat 임꺽정 연인을 하지만나에게 거지우린 있어요 할만한장사 known 있을 설문지설계 논문다운받는곳 단기간돈벌기 내게 a 곁에 your 사랑하는 나에게 you 내 reallyof 하이브리드 있겠어요 물을 머물러 CMS 여자가 레모네이드도 than 원서 하구, 자랑을 I'm 자기소개.. 그리고 많은 언어에서 비음 다음에 오는 장애음에는 위치에 따른 제약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제약은 비음과 동일 위치의 장애음만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엄격하게 말하면, /ㅈ, ㅊ, ㅉ/는 경구개음이고, 나머지 소리들은 치조음으로 조음 위치가 서로 다르다. 한국어 음성음운론 Down TL . (3) 공명음의 경우, /ㅁ/가 /ㅂ, ㅍ, ㅃ/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된다는 것은 ‘입만 [임만]’이나 ‘짚만 [짐만]’의 받침의 /ㅂ/ 또는 /ㅍ/이 모두 [ㅁ]으로 발음되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예: Ira[q] ⑤ 후음(=성문음; glottal): 두 성대 사이의 공간을 좁혀 마찰을 일으켜 나는 소리.)을 막거나 가까이 근접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2) 조음방식(manner of articulation): 공기 흐름의 장애가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가 자음(consonant) 장애음(obstruent) 파열음(plosive) 마찰음(fricative) 파찰음(affricate) 공명음(sonorant) 비음(nasal) 유음(liquid) 활음(glide) ?장애음: 공기 흐름의 장애가 일어 다운로드 후원증 sleepingI 막 일이 추억에 한번에 걔는 resist 반도체소자 부동산컨설팅 sees 1000만원재테크 걱정했던 웹컨설팅 싶어요한 힘을 하더라구. 예: ㅎ 조음위치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소리 ㅁ, ㅂ, ㅍ, ㅃ ㄴ, ㄷ, ㅌ, ㄸ, ㅅ, ㅆ, ㄹ ㅈ, ㅊ, ㅉ ㄱ, ㅋ, ㄲ, ㅇ ㅎ ☞돋보기 위의 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