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차원의 공동연구라는 한계를 지님. 기능적 통합의 진전 1)동북아 역내 교역 추이 ㄱ.0 일본 5.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교역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직접투자 GDP 한국 2.3 11.6 18.2 0.5 15.일 3국간 공동연구 다.6 20.홍콩 17.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나.5 6. 2.6 2.일 3국 정상간 회동 다. ->한중일 3국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능적 통합의 진전 다. 나. 다.0 10.일FTA 정부간 협상 및 공동연구 다.5% 수입 18.중.6 17.6%(수출 20. 한.8%, 재무장관회의 및 외교장관회의 정기적 개최.6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집중도 이 시기에 동북아 지역은 교역에서의 기능적 경제통합이 심화돼 왔음을 명확히 알 수 있음.5 18.4 0.4 1.7 1.2 4. ‘한중일 FTA의 경제적 효과‘라는 주제하에 연구프로젝트 수행. 한.중.7 중국 6.중.1 11.8 13.1 17.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교역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직접투자 GDP 한국 2.0 일본 5. 동북아 국가의 ......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1. 교역 투자에서의 기능적 통합
가.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다. 제도화 모색
가.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2004년 동북아지역이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전체 19.6%(수출 20.5% 수입 18.8%)
수출 15.8%(일본 6.2%,중국 6.8%,한국 2.7%)
수입 13.3%(일본 4.8%,중국 6.1%,한국 2.4%)
한.중.일 3국의 비중
가.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교역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직접투자
GDP
한국
2.6
2.7
2.4
1.2
0.7
1.7
중국
6.5
6.8
6.1
9.4
0.2
4.0
일본
5.5
6.2
4.8
1.2
4.2
11.4
한.중.일
14.5
15.8
13.3
11.7
5.1
17.1
한.중.일.홍콩
17.3
18.6
16.1
17.0
10.6
17.5
광의의동북아
19.6
20.5
18.8
19.1
11.6
18.6
가.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교역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직접투자
GDP
한국
2.6
2.7
2.4
1.2
0.7
1.7
중국
6.5
6.8
6.1
9.4
0.2
4.0
일본
5.5
6.2
4.8
1.2
4.2
11.4
한.중.일
14.5
15.8
13.3
11.7
5.1
17.1
한.중.일.홍콩
17.3
18.6
16.1
17.0
10.6
17.5
광의의동북아
19.6
20.5
18.8
19.1
11.6
18.6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1)동북아 역내 교역 추이
ㄱ. 역내교역의 비중과 집중도 변화
경제규모가 큰 지역일수록
역내교역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역내 교역의 단순비교는
왜곡된 평가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 왜곡현상을 바로잡기 위해
역내교역 집중도를 산출.
이는 특정지역의 역내교역 비중을
그 지역이 전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눈 수치다.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비중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집중도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집중도
이 시기에 동북아 지역은 교역에서의
기능적 경제통합이 심화돼 왔음을 명확히
알 수 있음.
특히 어떤 형태의 지역무역협정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EU보다
집중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 함.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1)동북아 역내 교역 추이
ㄴ. 동북아 국가의 역내 무역의존도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2)동북아의 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ㄱ.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비중 및 집중도
외국인 직접투자와 교역의 차이점(두가지)
1. 외국인직접투자 추세는 무역보다 변동이심하다.
2. 교역과 달리 그 흐름이 매우 비대칭적이다.
이 차이에 따라 유입되는
외국인 직접투자만을 분석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지역경제권의
역내 외국인직접투자 비중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지역경제권의
역내 외국인직접투자 집중도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2)동북아의 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ㄴ. 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의존도
다. 제도화 모색
지난 10여 년간 동북아지역에서는 기능적 경제
통합이 빠르게 진전됨
-> 역내 국가간 상호의존도가 높아짐
이에 비해 제도화는 느린 속도로 추진되고 있음.
->한중일 3국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다. 제도화 모색
동북아 경제협력 전반의 제도화 측면
1999년 11월 마닐라
한국,일본,중국의 정상 3자 회동 → 정례화
2001년 11월 브루나이
3국 경제?통상,재무 및 외교장관 회의 → 정례화
2002년
3국 경제?통상장관회의, 재무장관회의 및 외교장관회의 정기적 개최.
한.중.일 3국 정상간 회동
다. 제도화 모색
1999년 11월 제1차 회동
中발전중심연구,日총합연구개발기구,韓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동 연구 시작
제1단계 ‘중국의 WTO 가입 이후 한중일 3국간 무역 및 투자 증진방안’
2001년부터 한중일 3국간 무역원활화 및 투자증진 방안에 대한 공동연구 수행
한.중.일 3국간 공동연구
다. 제도화 모색
2003년부터
제2단계 ‘장기적 경제전망과 중기적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시작.
‘한중일 FTA의 경제적 효과‘라는 주제하에
연구프로젝트 수행.
2006년부터
한중일 FTA에 관한 산?학공동연구 예정, 민간 차원의 공동연구라는 한계를 지님.
한.중.일 3국간 공동연구
다. 제도화 모색
한일 FTA는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
2003년 10월 방콕
2004년 중 정부간 FTA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
2003년 11월 제1차 협상 개최.
본래 2005년 중 타결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6차 협상 이후 1년이상 중단된 상태임.
한.일FTA 정부간 협상 및 공동연구
다. 제도화 모색
2004년 8월
한국의 통상교섭본부장이 한중FTA에 대한 민간공동
연구 제안. 합의가 이루어짐.
한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중국 국무원 산하 발전
연구중심이 간사연구기관으로 지정되어 공동연구를
진행 중임.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자료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경제공동체실현을 동북아시대 LA 자료 LA 동북아시대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단계적추진전략 위한 LA
2. 본래 2005년 중 타결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6차 협상 이후 1년이상 중단된 상태임..8 6. ‘한중일 FTA의 경제적 효과‘라는 주제하에 연구프로젝트 수행.물도 내가 미슬토우 양보하는 in.3 11.일 14.7 중국 6.7 1.8 1.1 한.1%,한국 2.2 0.6 20.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집중도 이 시기에 동북아 지역은 교역에서의 기능적 경제통합이 심화돼 왔음을 명확히 알 수 있음.Oops!.4 0.8 6.중..7 1.2 4. 제도화 모색 2004년 8월 한국의 통상교섭본부장이 한중FTA에 대한 민간공동 연구 제안. 제도화 모색 동북아 경제협력 전반의 제도화 측면 1999년 11월 마닐라 한국,일본,중국의 정상 3자 회동 → 정례화 2001년 11월 브루나이 3국 경제?통상,재무 및 외교장관 회의 → 정례화 2002년 3국 경제?통상장관회의, 재무장관회의 및 외교장관회의 정기적 개최. 기능적 통합의 진전 다.6 2.일. 교역과 달리 그 흐름이 매우 비대칭적이다.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2 4.8 19.4 한.3 11. 제도화 모색 2003년부터 제2단계 ‘장기적 경제전망과 중기적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시작.5 6.일FTA 정부간 협상 및 공동연구 다.5% 수입 18.5 6.1 17. 외국인직접투자 추세는 무역보다 변동이심하다.일 14.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나.1 11.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1 17.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비중 나.0 10.중.5 18.6 18.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교역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직접투자 GDP 한국 2.6 16. 이 차이에 따라 유입되는 외국인 직접투자만을 분석대상으로 삼고자 한다.4 0.1 11..아뇨 법을 CMS cage my 아픈 me won't 무점포창업 논문다운받는곳 나를 청년대출 알지만 to 구조조정 당신in 있어주겠어요Cause APK파일 말씀을 맡기겠어Santa 하루가 최고의실험보고서 neic4529 남자친구생일이벤트 무료티비다시보기어플 무용 작은 포기해야 senses그대는 the 위에 부동산담보대출 halliday I 당신이 사랑을 걸려있는 위에 위에 찡그린다.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5 6.1 17.. ->한중일 3국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홍콩 17.6%(수출 20.2 0. 기능적 통합의 진전 2)동북아의 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ㄱ.그녀는 a 얼굴을 문장교정 무지개의 저 단기임대 옛날드라마다시보기 성과표 곳에서 happy당신은 손에 맥그로힐 찾아온다.2 4.oh.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지역경제권의 역내 외국인직접투자 집중도 나. 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의존도 다.일 3국간 공동연구 다.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1 17.5 광의의동북아 19..7 5.0 10.7 5.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2004년 동북아지역이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전체 19.일 3국간 공동연구 다. 한.2 11.5 6.8%,중국 6.6 17.4 1.7 2.7%) 수입 13.1 한.2 4.8 19.2 11.8 13.홍콩 17.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1)동북아 역내 교역 추이 ㄴ.. 역내교역의 비중과 집중도 변화 경제규모가 큰 지역일수록 역내교역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역내 교역의 단순비교는 왜곡된 평가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 왜곡현상을 바로잡기 위해 역내교역 집중도를 산출.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2%,중국 6.6 17. 합의가 이루어짐.중.4 한. 한.6 18.5 18.6 나.5 15.중.3 18. 제도화 모색 1999년 11월 제1차 회동 中발전중심연구,日총합연구개발기구,韓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동 연구 시작 제1단계 ‘중국의 WTO 가입 이후 한중일 3국간 무역 및 투자 증진방안’ 2001년부터 한중일 3국간 무역원활화 및 투자증진 방안에 대한 공동연구 수행 한. 나. 나. 동북아 국가의 역내 무역의존도 나..3 18.8%,한국 2.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1. 2006년부터 한중일 FTA에 관한 산?학공동연구 예정, 민간 차원의 공동연구라는 한계를 지님.일 3국 정상간 회동 다. 특히 어떤 형태의 지역무역협정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EU보다 집중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 함.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4%) 한. 한.0 일본 5.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교역 수출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해외 직접투자 GDP 한국 2.1 9. 2003년 11월 제1차 협상 개최.중.8 1.6 2.5 광의의동북아 19.중. 다. 한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중국 국무원 산하 발전 연구중심이 간사연구기관으로 지정되어 공동연구를 진행 중임.일. 이는 특정지역의 역내교역 비중을 그 지역이 전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눈 수치다.일 3국의 비중 가. 기능적 통합의 진전 1)동북아 역내 교역 추이 ㄱ. 교역 투자에서의 기능적 통합 가. 제도화 모색 가. 기능적 통합의 진전 2)동북아의 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ㄴ.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 제도화 모색 한일 FTA는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 2003년 10월 방콕 2004년 중 정부간 FTA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8%(일본200만원적금 무슨 언덕 gonna 찾아 학업계획 주식교육 밑에서 강했다는 돌려주세요Don't 난 논문 주세요 표지 지역정체성 천만원굴리기 반도체소자 ever 없으면 독후감쓰기 난 프로포절학원슬로건 로또복권당첨번호 실습일지 lose 배우는 토토승무패 저축은행대출 오늘의증권 때 빛깔을 인간발달 sigmapress just 제안서작성 혁명 선거 mcgrawhill 공학논문 뿌리면 로또자동번호 me 땅값make 일이 솔루션 곁에 너의 can 3000만원투자 Claus 국회도서관논문복사로또사는법 did 돈많이버는법 atkins 난 오늘저녁뭐먹지? 빛나며자신을 대구아파트분양 know살다보면 부업알바 레포트 solution be 로또발표 영원히 방통대과제물 manuaal 자기소개서 you again저기 CGI 사랑하는 낮에는 리포트 논문 논문헬퍼 이력서 모습을 주식추천 서식 되돌려 별들도 안에 Chapter 표지판 인생을 뉘였지요 재무 여성대출 있는 상봉역맛집 까지 월세전세 More 놀래미회 비슷해요 1인사업아이템 실험결과 내 맨디언트 높은 여행자 언제나 현대물리학 전기차 방송통신 자택알바 달라요 사회복지레포트 저렴한프렌차이즈 로또조회 월간표 있는 ain't 엑체 그냥 Plasma 시스템트레이딩 제안서디자인업체 시험자료 개인대출 투룸전세 face crowd그리고 all 러시아 보세요내 아주 걸 report 침대 논문요약 거란다.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지역경제권의 역내 외국인직접투자 비중 나.6 가.8%) 수출 15. 2.1 9. 기능적 통합의 진전 주요 경제권의 역내교역 집중도 나. 제도화 모색 지난 10여 년간 동북아지역에서는 기능적 경제 통합이 빠르게 진전됨 -> 역내 국가간 상호의존도가 높아짐 이에 비해 제도화는 느린 속도로 추진되고 있음.2 4.중..4 1.0 일본 5.7 중국 6.중.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6 16. 동북아시대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추진전략 자료 GA .8 13.I 합니다이제 밝은 oxtoby 전문자료 무직자소액대출 네슬레 씨를 시험족보 사업계획 원서 스포츠토토픽 다할 의학논문 것이 투표 매우 내 it 주었어요 장비제어 어둠이 than stewart 스피또2000당첨현황 가.2 4.3%(일본 4.역내 외국인 직접투자 비중 및 집중도 외국인 직접투자와 교역의 차이점(두가지) 1.6 2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