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그에 대한 반비판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1930년대의 사회성격논쟁 2. 본 론 : 일제강점기 사회성격론 논쟁들의 성과와 비판 일제강점기 사회성격을 해명하기 위한 논쟁은 시대적 관점에 따라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다.. 당시 농업의 상황은 일제의 금융독점자본이 경제의 전영역에 지배권을 행사하며 자본주의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듯 하지만, 동시에 그 전후 시대의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 업로드 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 그러나 이러한 자본의 지배는 농업생산에서 자본가적 생산방법을 발달시키기보다 오히려 반봉건적인 영세농과 소작관계를 발달시킨다고 하였다. 첫째로 일제 시대의 당시적 관점으로 사회성격을 고찰한것이고,해방후의 일제하 사회성격 연구 일제시대이후에 이루어진 일제시대 사회성격에 대한 논쟁에 대한 흐름은 다시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오히려 현상적으로는 봉건적 요소인 지주제가 확대되는 상황으로서 조선사회를 과연 자본주의사회로 ......
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 업로드
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hwp 자료 (DownLoad).zip
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
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레포트입니다. 일제사회성격론
서 론 : 일제하 사회성격 해명의 의의와 접근 방법
본 론 : 일제강점기 사회성격론 논쟁들의 성과와 비판
1. 1930년대의 사회성격논쟁
2. 해방후의 일제하 사회성격 연구
1) 1980년대 중반의 일제강점기 사회구성체 논쟁의 인식구도와 성과
2) 식민지 ‘수탈-개발’논쟁과 비판
결 론 : 일제하 사회성격론의 방향의 모색 서 론 : 일제하 사회성격 해명의 의의와 접근 방법
역사학에서 사회성격을 해명하는 것은 다른 시대와 구분되는 그 시대 고유의 사회구조 및 사회운동의 역사적 특성을 해명하는 문제이다. 이것은 당시 사회의 인간해방의 사회적 조건과 역사적 방향을 해명하는 문제임과 동시에 그 역사성을 계승하는 문제이다. 또한 그것은 당시대 이전이나 이후 시대의 역사변동과의 계기성을 해명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한 시대의 사회성격을 해명하는 것은 그 시대나 사회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이고, 동시에 그 전후 시대의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본 보고서는 실증적인 연구에 앞서 일제하 사회성격논쟁의 여러 논의를 이론사적으로 재조명하면서 그 성과와 한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으며, 이를 종합하여 좀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일제시기의 사회성격을 체계적·과학적으로 해명할 방법론적 전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론 : 일제강점기 사회성격론 논쟁들의 성과와 비판
일제강점기 사회성격을 해명하기 위한 논쟁은 시대적 관점에 따라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다. 첫째로 일제 시대의 당시적 관점으로 사회성격을 고찰한것이고, 둘째는 일제시대이후의 현재적 관점으로서 과거 일제시대의 사회 성격을 해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1. 1930년대의 사회성격논쟁
일제시대 당시의 사회성격 연구는 1930년대 중반에 처음 일어났는데, 일제강점기 조선 인구의 80%가 농민으로서 ‘조선 문제는 본질적으로 농업문제이다’라는 인식에서 부터 출발했다. 당시 농업의 상황은 일제의 금융독점자본이 경제의 전영역에 지배권을 행사하며 자본주의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듯 하지만, 오히려 현상적으로는 봉건적 요소인 지주제가 확대되는 상황으로서 조선사회를 과연 자본주의사회로 규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사회성격 해명의 관건이 되었다.
당시 사회성격논쟁의 주요 학자는 박문규, 인정식, 박문병으로서 이들의 논의는 주장과 반비판, 또 그에 대한 반비판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박문규는 토지조사 사업을 통해 조선에서 봉건적 제한이나 속박이 사라지게되고 근대적 토지소유제도가 수립되면서 조선의 농업생산은 과거의 고립성을 급속히 상실하고 현저히 자본에 의해 지배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본의 지배는 농업생산에서 자본가적 생산방법을 발달시키기보다 오히려 반봉건적인 영세농과 소작관계를 발달시킨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박문규는 자본주의적 소유관계(=생산관계)와 봉건적인 수공업적 생산력(=생산양식)의 대립을 조선 농촌의 본질적인 모순으로 파악하였나 인정식은 자본제적 성격과 봉건적 성격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상호보완적인 사회라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한 반비판으로서 박문병은 소작료 분석을 통해 조선 농업의 경제적 본질을 “자본가적 경제의 합법칙성에 의존하지 않고 자본에 의해 변색·변질되긴 했지만 봉건적인 경제외적 강제에 의존하는 반봉건적인 형태이며 따라서 지주-소작인 관계도 봉건적인 성격이 강한 관계”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그는 제국주의 자본은 식민지 지배를 통한 초과이윤의 수탈을 위해 자본제적 요소와 봉건적 요소를 병존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제국주의 자본의 이중성’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들의 연구는 전반적인 사회성격의 이해보다는 지주제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제한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지주제에 대한 이러한 파악은 식민지하의 사회성격을 해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 해방후의 일제하 사회성격 연구
일제시대이후에 이루어진 일제시대 사회성격에 대한 논쟁에 대한 흐름은 다시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하나는 1980년대 중반의 일제강점기 사회구성체 논쟁이고 다른 하나는 1990년대의 식민지 ‘수탈-개발’논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