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자료등록 전기화학 - Carbon Nano TubeCNT 자료등록 탄소나노튜브의 응용 레포트
Carbon Nano Tube
목 차
Carbon Nano Tube 란?
CNT의 발전
CNT 응용 (반도체, 센서, 현미경, 연료전지)
CNT의 구조 & 특성
참고 문헌
Carbon Nano Tube 란?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 관의 지름이 수∼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CNT)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 부설 연구소의 이지마스미오박사가 탄소덩어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
Carbon Nano Tube 란?
풀러렌(C60: 축구공모양)을 변형시켜 만든 것으로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동소체로서 하나의 탄소가 다른 탄소원자와 육각형 벌집무늬로 결합되어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
나노 기술 중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이른 바 ‘꿈의 신소재’‘21세기 나노 기술의 보석’이라 불리는 탄소나노튜브
CNT의 발전
1985년 Smalley, Curl, Kroto가 탄소동소체의 하나인 Fullerene (탄소원자 60개가 모인 것:C60)을 처음으로 발견(1996년 노벨 화학상 수상)
1991년 이 물질을 연구하던 NEC의 이지마 박사가 CNT를 발견하여 Nature에 처음으로 발표(전기방전법을 사용)
1992년 Ebbesen, Ajayan등이 전기방전법을 사용하여 합성 수율을 크게 증가하는 방법 발표
1993년 IBM의 Bethune와 NEC의 Iijima 등이 전기방전법 을 사용하여 직경이 1nm수준의 단중벽 나노튜브합성 발표
CNT의 발전
1996년 Smalley 등은 레이저증착법으로 직경이 균일한 SWN T를 고수율로 성장시키는 방법 발표
1998년 Ren 등이 플라즈마 화학 기상증착법을 사용하여 글라스 기판위에 수직 배향된 고순도의 CNT를 합성
그 이후에도 세계 각국에서 CN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진나노텍, 삼성SDI, LG전자 등 많은 기 업과 학교에서 연구 중
CNT의 구조
CNT는 수 nm의 직경을 가진 길고 가느다란 튜브모양의 구조를 하고 있음.
CNT는 독특한 모양과 말린 구조에 따라 도체도 될 수 있고 반도체도 될 수 있는 독특한 전기적 성질로 각광 받아왔음.
CNT의 구조
단일벽 탄소 나노 튜브
튜브에 탄소원자로 구성된 벽이 하나인 튜브형태
전기 전도성, 열전도성이 가장 우수함
다중벽 나노튜브보다 유…(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