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작용기전과 내성 문제 업로드
[목차]
1. 항생제 정의
항생제란 살아있는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 하거나 없애는 목적으로 유기물에서 추출한 물질을 말한다.
간단히 말해 항생제란 인간의 몸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죽이기 위해 만든 물질이다.
일반적인 항생제의 작용기전은 핵산의 복제 방해,세포벽 합성 방해, 단백질 합성 방해,세균의 대사를 억제하는 항대사작용 등이 나타난다.
2. 항생제의 종류
(1) 반코마이신
장구균, 연쇄구균, 포도상 구균 등 그람양성구균에 국한. 대부분의 그람양성구균 감염의 2차약제. 메티실린-내성 포도상구균이나 Corynebacterium jeikeium감염과 페니실린 알레르기 환자에서 발생한 그람 양성구균 중증 감염시 선택약제로 사용된다.
(2) 페니실린
세균감염 치료(봉와직염,단독, 호흡기 감염증, 매독)
부작용- 검은 혀, 가벼운설사, 메스꺼움, 구토, 통증, 붓기, 심한 알레르기 반응, 불안, 이상행동, 변이나 소변에 혈액, 가슴통증,오한, 졸음, 극도의 피로감, 혼란,우울증, 졸도, 빠른 심장박동, 혈관 부종
(3) 옥사실린
옥사실린은 penicillinase 방지 β-락탐이다.
이 methicillin과 유사하며, 임상 사용 methicillin을 대체하고 있다.
(4) 메티실린
메티실린(페니실린이 듣지 않는 감염에 대해 사용하는 합성 페니실린)
(5) 테트라사이클린
그람양성균과 음성균에 광범위 정균효과. 만성 기관지염, 서혜부 육아종, 브루셀라증, 야토병, 마비저, 유비저, Borrelia에 의한 스피로헤타 감염, Vibrio vulnificus, 일부 Aeromonas 감염, Stenotrophomonas, 흑사병, ehrlichiosis의 선택약제.
3. 항생제의 작용기전
세포막은 세포의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막은 세포질 내 삼투압과 세포가 처한 환경의 삼투압 간 차이에 의한 세포 손상을 보호할 뿐 아니라, 세포에 필요한 영양물질의 흡수, 대사산물의 조절, 호흡효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