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정량 다운받기
단백질의 정량
Ⅰ. 실험 목적
단백질 정량의 원리를 이해하고, 우유 속 단백질을 정량해본다.
Ⅱ. 서론
1) 단백질 정량
단백질 정량이란 sample 내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 또는 농도를 구하는 과정으로써, 대부분의 생명과학실험의 기본이 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단백질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에는 UV법, lowry법, BCA법, Bradford법 등이 있다. 각각의 단백질 종류에 의한 감도의 차이, 방해물질의 종류와 허용농도 및 반응액의 pH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측정할 대상에 따라 적당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2) 단백질 정량방법
(1) UV법
단백질에 있는 티로신,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 잔기들은 약 280㎚의 자외선을 흡수하는데 많은 단백질에서 이 아미노산을 합친 수준은 거의 일정하므로 단백질의 농도는 280㎚에서의 흡광도와 비례하게 된다. 단백질의 흡광도는 주로 방향족 화합물 잔류물에 기인하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흡광계수(ε: 빛이 시료 1cm를 통과할 때의 흡광도)는 단백질시료에 따라 다르므로 원하는 단백질의 흡광 계수값을 알면 시료의 농도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장점: 빠르고, 다른 시약이 필요 없으며, 단백질 시료를 회수하여 그대로 쓸 수 있다.
-단점: 자연계에는 280㎚에서 높은 흡광도를 지니는 화합물들이 많이 있고, 핵산과 섞여있는 경우 26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해 보정해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있다.
(2) 뷰렛(Biuret)법
Biuret은 알칼리성 CuSO4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만드는데 이와 구조가 비슷한 두개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가진 화합물도 유사한 착화합물을 만들며 단백질의 경우에는 청자색 또는 적자색의 착화합물을 만든다. 이 착화합물의 양은 단백질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각각의 서로 다른 농도를 지니는 표준 단백질 용액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용액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후, Standard curve로부터 시료의 단백질 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장점: 모든 단백질에 대해서 재현성이 꽤 좋고 비교적 많은 양(1-20㎎)의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다.
-단점: 착화합물의 색은 1-2hr동안은 안정하지만 그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면 점점 색도가 증가한다. 감도가 1㎎/㎖ 정도로 낮은 편이다.
(3) Lowry(Folin-ciocalteau; Folin phenol)법
이 방법은 단백질 사슬의 아미노산에서 구리이온(+2)의 아마이드 결합으로 환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